위로가기 버튼

‘부채 역주행’ 한국 경제… 대구·경북도 예외 없어

성지영 인턴기자
등록일 2024-08-27 20:20 게재일 2024-08-28 2면
스크랩버튼
코로나 후 GDP 대비 부채 비율<br/>韓 가계·기업·정부 242.7% 늘어<br/>대구·경북도 상장사 10곳 중 3곳<br/>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록<br/>영업익 8조로 줄고 이자비용 3배↑

‘코로나 사태’를 벗어난 3년 동안 한국의 국내 총생산(GDP) 대비 가계·기업·정부 부채 비율이 코로나 사태 당시인 2020년 4분기 보다 242.7% 증가했다.

26일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코로나 사태 이후 선진국들이 빚을 줄이고 있는 동안 한국의 경제주체들의 부채 수준은 오히려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실제로 선진국의 부채비율은 같은 기간 319.3%에서 264.3%로 급격히 감소했다. 전 세계 평균도 같은 기간 285.4%에서 245.1%로 줄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부채 위기는 고금리 환경에서 고통스럽더라도 빚을 줄여나가는 정공법을 쓰지 않고, 빚내는 것을 용인하며 부실기업을 연명시키는 진통제 처방에 의존한 결과라고지적하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경영분석’에 따르면 국내 기업 10곳 중 4곳이 한 해 동안 번 돈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었다. 한계기업이란 3년연속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이거나 영업활동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을 말한다.

대구경북 상황도 좋지 않다. 대구경북 상장사 10곳 가운데 3곳은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기업은 38곳이며, 이는 2022년(한계기업 30곳)보다 8곳이 늘었다. 이는 경기 침체로 이익이 줄어든 가운데 고금리로 이자가 늘어난 탓이다. 지역 상장사의 전체 영업이익은 2021년 12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8조원으로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이자 비용은 1조9000억원에서 5조8000억원으로 3배나 증가했다. /성지영 인턴기자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