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마당에 물을 주다가

등록일 2024-08-11 18:22 게재일 2024-08-12 19면
스크랩버튼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길지도 짧지도 않은 장마가 끝나고 불볕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작년과 비교해봐도 강우량이 크게 부족한 것도 아닌데, 마당의 잔디가 붉게 타들어 간다. 무슨 조화일까?! 생각이 많아도 실천하는 것이 우선 아닌가! 두 시간 가까이 물을 주고 나서야 비로소 안도의 한숨을 내쉰다. 불편하고 미안했던 마음이 조금이나마 풀리는 것이다.

생명 가진 것은 하나같이 물이 있어야 살 수 있다.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박테리아만 해도 그렇다. ‘혐기성 박테리아’는 있어도 ‘혐수성(嫌水性)’ 박테리아는 들어보지 못했으니 말이다. 공기와 물은 어찌 보면 무한한 자원이고, 그래서 쉽게 생각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숨을 쉬지 못하거나 물을 먹지 못하면 모든 생명체는 종말을 맞을 수밖에 없다.

작년 이맘때 환한 얼굴로 나를 반겨준 ‘상사화(相思花)’가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그래서 대문 옆 상사화 자리에 물을 듬뿍 주는 것으로 물주기를 시작한다. 상사화 주변을 맴도는 기생식물의 뿌리를 뽑는 작업을 함께하면서 나무와 풀의 경이로운 생명력에 탄복한다. 벌써 보름 넘도록 비다운 비가 오지 않았건만 이들은 삶을 이어가고 있으니 그런 생각이 들밖에!

물을 주노라니 방아깨비 한 마리가 큰 덩치에 어울리지 않을 만큼 신속하고 강력하게 허공을 날아오른다. 거의 10㎝쯤 돼 보이는 실하고 큰 녀석이다. 역시 풀과 나무가 있으니 이런 곤충도 동행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텃밭으로 물길을 옮길 즈음에 기름치와 때때기가 깜짝 놀라 줄행랑을 놓는다. “야, 너무 두려워하지 마라” 하고 속삭인다.

작년과 재작년에 크게 성공한 방울토마토와 상추는 올해 거의 망해버렸고, 고추도 작황이 별로여서 안타깝다. 그래도 처음 심어본 옥수수가 우뚝하게 자라났고, 참외 역시 몇 알 싱싱하게 햇살 아래 얼굴을 보여준다. 여기 더하여 가지도 자주색 어여쁜 꽃송이와 열매를 실하게 달고 있어서 미래의 수확을 약속한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붓꽃의 단단하고 강건한 줄기 쪽으로 물살을 뿌리니 방아깨비가 다시 얼굴을 보이며 황망하게 달아난다. 아까 마주친 녀석과 친구인 모양이다. 그리고 다시 하늘로 솟구친 녀석은 제법 규모가 있는 여치였다. 거의 풀무치 정도로 큰 덩치의 여치가 이웃한 쇠막대에 사뿐히 자리를 잡는 것이다. “사진기를 두고 왔네” 하고 혼잣말한다.

마당에 물을 줄 때마다 드는 생각은 한결같다. 지구의 모든 생명은 한데 어우러져 있다는 단순 명쾌한 사유가 그것이다. 호모사피엔스인 나도 지구의 거대한 생명체의 순환 가운데 하나일 따름이라는 인식이 찾아드는 게다. 저 여리고 순박한 숱한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에 나도 한자리 얻어서 살아갈 뿐이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다.

“모든 것은 다른 것에 의존하고, 다른 것과의 관계에서만 존재한다. 사물은 자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다른 어떤 것 덕분에, 다른 것의 결과로서, 다른 것과 관련하여. 다른 것의 관점에서 존재한다.” 나가르주나(龍樹)의 가르침이 새삼스럽게 다가오는 아침이 환하게 밝아온다.

破顔齋(파안재)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