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공무원시험 문호개방은 ‘열린 대구’의 신호탄

등록일 2024-08-05 19:18 게재일 2024-08-06 19면
스크랩버튼
‘지역제한 폐지’ 후 처음 치러질 대구시 공무원 임용시험 경쟁률이 크게 높아졌다. 대구시가 최근 자치단체 인터넷 원서접수시스템을 통해 임용시험 원서를 접수한 결과, 13명을 뽑는데 1331명이 지원했다. 100대 1이 넘는 경쟁률이다. 청년 취업난이 심각한 게 근본 원인이지만, 대구시가 이번 임용시험부터 거주지 제한요건을 없앤 탓도 크다. 지난해 평균 경쟁률은 58.5대1이었다. 특히 6명을 뽑는 행정직 7급에는 1129명이 지원해 경쟁률이 무려 188.2대1을 기록했다. 이중 타지역 응시자가 379명으로 28.5%를 차지했다. 4명을 뽑는 보건 연구사의 경우 지원자 118명 중 44명(37.3%)이 타 지역 응시자였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공무원 임용시험에서 거주 요건을 없앤 건 서울시에 이어 대구가 두 번째다. 그동안 대구시 공무원 임용시험 응시 자격기준은 대구에 살고 있거나 과거 3년 이상 산 적이 있어야 했다. 지역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였지만, 지역제한이 인재 유치에 걸림돌이 된다는 문제제기는 꾸준히 있었다. 대구시는 앞으로 시 산하기관 직원을 채용할 때도 지역제한을 완화할 방침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취임 이후 기회 있을 때마다 ‘대구의 폐쇄성’을 거론해왔다. 대구가 인재의 문을 닫고 ‘우리끼리 하겠다(기득권 카르텔)’는 고집을 부렸기 때문에 20여 년동안 침체의 길을 걸었다는 것이다. 홍 시장의 논리는 ‘대구가 열리려면 외부인재를 광범위하게 영입해서 능력과 성과로 조직이 운영돼야 한다’게 핵심이다. 전적으로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과거 대구지역 이주민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대구시민의 외부인에 대한 차별의식이 유독 심하다’는 응답결과가 나온 적이 있었다.

바늘구멍 통과하듯 어렵다는 공무원 임용시험에서 대구만 지역제한을 철폐해 이 지역 취업준비생들이 불만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대구의 인재확보와 배타성 극복을 위해 우선 적은 수이긴 하지만 공무원 임용시험부터 문호를 활짝 여는 것도, 혁신적인 판단인 것 같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