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공무원 임용시험에서 거주 요건을 없앤 건 서울시에 이어 대구가 두 번째다. 그동안 대구시 공무원 임용시험 응시 자격기준은 대구에 살고 있거나 과거 3년 이상 산 적이 있어야 했다. 지역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였지만, 지역제한이 인재 유치에 걸림돌이 된다는 문제제기는 꾸준히 있었다. 대구시는 앞으로 시 산하기관 직원을 채용할 때도 지역제한을 완화할 방침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취임 이후 기회 있을 때마다 ‘대구의 폐쇄성’을 거론해왔다. 대구가 인재의 문을 닫고 ‘우리끼리 하겠다(기득권 카르텔)’는 고집을 부렸기 때문에 20여 년동안 침체의 길을 걸었다는 것이다. 홍 시장의 논리는 ‘대구가 열리려면 외부인재를 광범위하게 영입해서 능력과 성과로 조직이 운영돼야 한다’게 핵심이다. 전적으로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과거 대구지역 이주민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도 ‘대구시민의 외부인에 대한 차별의식이 유독 심하다’는 응답결과가 나온 적이 있었다.
바늘구멍 통과하듯 어렵다는 공무원 임용시험에서 대구만 지역제한을 철폐해 이 지역 취업준비생들이 불만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대구의 인재확보와 배타성 극복을 위해 우선 적은 수이긴 하지만 공무원 임용시험부터 문호를 활짝 여는 것도, 혁신적인 판단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