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기후대응댐 전국 14곳… 서둔만큼 재난 줄인다

등록일 2024-07-31 18:44 게재일 2024-08-01 19면
스크랩버튼
정부가 극한 홍수와 가뭄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산업용 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전국 14곳에 신규 댐 건설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기후대응댐 후보지로 경북 김천, 예천, 청도, 경남 거제, 의령, 경기 연천 등 14곳을 발표했다. 이 지역은 극한 홍수와 가뭄이 점차 상시화하는 곳으로 댐 건설을 미룰 수 없다고 했다. 권역별로는 한강권역 4곳, 낙동강권역 6곳, 금강권역 1곳, 영산강·섬진강 권역 3곳이다.

지구촌의 기상변화가 우리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은 갈수록 커지고 심각하다. 국제기상전문기구는 전 세계의 평균 기온이 2022년 기준으로 볼때 1850년∼1900년도 보다 약 1.2도가 높아졌다고 한다. 이러한 온도 상승으로 지구촌은 폭염과 한파, 폭우, 가뭄 등의 이상기후가 계절에 상관없이 자주 발생, 재해를 입히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2022년 태풍 힌남노로 포항의 냉천이 범람하면서 9명이 목숨을 잃었다. 포항제철소는 고로가 물에 잠기면서 가동이 상당기간 중단되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도 입었다. 같은 해 호남지역에서는 반세기만에 가장 긴 가뭄이 닥쳐 생활용수 부족을 겪었고 산업단지는 가동이 중단될 위기에 몰렸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한 호주 산불의 원인이 가뭄으로 밝혀진 것처럼 우리도 봄철 산불이 빈발한 것은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

댐건설은 빨리 완성되는 만큼 재해도 줄인다. 지난해 발생한 오송참사도 댐만 건설됐더라면 그만큼 피해가 크지 않았을 것이다.

정부는 주민설명회 등 댐 건설의 속도를 내야 한다. 적어도 10년 이상 걸리는 공사여서 사업 착수 시점이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이 정쟁의 대상이 돼 국가 치수(治水) 정책이 오랫동안 혼란을 거듭했다. 기후대응댐 건설은 이런 전철은 밟지 않아야 한다.

특히 대량의 물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해서라도 다목적댐 건설은 서둘러 추진돼야 한다. 정부는 다목적댐 조성의 목적을 주민들에게 잘 알리고 협조를 구하는 한편 야당의 협조도 얻어야 한다. 야당도 국가의 미래를 위한 치수사업에 적극 협력해야 할 것이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