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한 달이 넘어가는 듯하다. 우연한 기회에 만난 유튜브 가운데 한국과 한국인을 칭찬하는 내용으로 가득 찬 동영상 얘기다. 처음에는 뭐, 그럴 수도 있겠지, 하는 마음이었는데, 자꾸만 보고 듣다 보니 정말 그런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요컨대 한류(韓流)의 세계적인 유행과 더불어 한국인과 한국을 찬양하는 국제적인 유튜버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오는 26일 개막되는 제33회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프랑스에서 건너온 여기자의 유튜브 방송이 그런 본보기 가운데 하나다. 그녀는 파리를 흐르는 센강에 입수(入水)하겠다고 공언한 파리 시장과 프랑스 대통령을 강하게 비난한다. 지난 2년 동안 센강에 쏟아부은 3조 원 넘는 돈이 말짱 도루묵이었다고 위정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그녀는 36년 전인 1988년 서울 올림픽을 맞이한 한국과 한국인들이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심층 탐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한다. 거기서 그녀가 도달한 결론은 새삼 놀라운 것이었기에 잠시 소개한다. 한국인들은 당시 하나 되어 한강은 물론 낙후한 화장실을 말끔하게 손봄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화장실 문화와 깨끗한 수질의 한강을 가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반면에 거액을 투입했지만, 센강은 회복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고, 정치인들은 올림픽이 끝나고 난 다음 센강 입수를 고려해보겠다고 말을 바꾸었다고 한다. 파리 시민들은 여전히 노상방뇨(路上放尿)를 감행하여 곳곳에서 지린내가 등천하고, 오물이 강변을 뒤덮고 있다 한다. 이런 차이가 어디서 오는지, 궁금했던 그녀에게 해답의 실마리를 제공한 이는 한국인이었다.
국가와 공동체가 마주한 중대사를 위해 소중한 개인의 자유를 뒷전으로 미루고 사회-공공성 강화를 위해 한국인들은 손에 손을 맞잡았다는 얘기다. 그런데 이번 올림픽 개최에 부정적인 파리 시민 가운데 일부는 올림픽 보이콧까지 주장하며 노상방뇨와 쓰레기 투척도 마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민의식 차이가 결정적이라는 결론이 도출된 셈이다.
이와 같은 결론은 두 가지 쟁점을 초래한다. 그 하나는 개인의 권리와 공공성의 충돌이 발생하면 어느 선까지 누가 물러설 것이냐, 하는 것이고, 그 둘은 그런 차이를 가져오게 만든 사회-정치-역사적인 맥락을 어떻게 수용할 것이냐, 하는 문제다. 따라서 간단명료하며 지극히 명쾌한 단답형 결론 도출은 불가능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공론장(公論場)은 이런 경우 꽤 유용하다. 하나의 의견을 제시하고 대중의 사유와 인식을 열린 토론 마당으로 초대하는 것이다. 정해진 결과를 향해 질주하는 게 아니라, 서로 다른 입장과 견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호 이해와 인식의 교환을 일상화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민주주의 실험장이자 건강한 시민의식의 발현 공간이다.
뜻하지 않은 유튜브와 대면함으로써 나의 인식과 사유가 전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분명 기분 좋은 현상이지만, 혹여 빠뜨린 대목은 없는지, 주변 사람들과 토론하고 있다. 거기서 나오는 목소리가 우리 사회의 열린 공론장 형성에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