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이후 융합 전공이나 교양 교과목을 강의하는 시간강사 노릇을 하게 되었다. 배운 도둑질이 오직 책을 읽고, 생각을 정리하여 글을 쓰고, 그것을 대중과 공유하는 한 가지였으니 그럴 법도 하다. 일주일에 두 번 출강하여 학생들과 대면함은 유쾌하기도 하고, 나의 청춘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도 하니 일석이조(一石二鳥)다. 고마울 따름이다.
얼마 전 이른 아침에 가창 인근 사거리에서 장의차가 느릿느릿 장지(葬地)로 나아가는 장면이 눈에 밟힌다. 적절한 햇살과 바람과 기온을 보면서 ‘참 좋은 때 가셨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찾아든다. 지상에 오는 일과 마찬가지로 가는 일 또한 우리의 의지나 바람과 무관하다. 인연생(因緣生) 인연멸(因緣滅)이니 새삼 무슨 말을 덧붙이겠는가?!
장의차가 달리는 거리에는 이팝나무의 화사한 꽃이 모두 떨어지고, 작은 열매가 앙증맞게 매달려 있다. 봄꽃은 다 사라져 천지에 자취 하나 찾을 수 없다. 하기야 청도 누옥(陋屋)의 마당에도 붓꽃과 작약, 튤립은 전부 사라지고, 낮분홍달맞이꽃과 자주달개비 정도가 한여름을 맞고 있다. 이 모든 게 시간의 유장한 흐름과 어우러져 있는 것이다.
장의차를 보노라니 오래전에 맞이했던 친구 어머니의 죽음이 떠오른다. 예기치 못한 사고로 속절없이 세상을 버려야 했던 황망한 죽음과 장지의 낯선 풍경이 환각처럼 다가온다. 그 후로 이런저런 죽음과 마주하면서 생의 허무함 혹은 느닷없음에 적잖게 괴로워했다. 그렇지만 시간은 주저하지 않고 앞으로 달려 오늘에 이른 것이니, 아득한 세월이 지나간 셈이다.
가로수의 녹음이 짙어지면 매미가 모습을 드러낼 것이고, 한여름의 불청객(不請客) 모기가 인간의 혈액을 탐하게 되리라. 하지만 꽃이 진 자리에 하나둘 열매가 들어서고, 거기서 생명의 이어달리기가 진행될 터다. 하나의 소멸이 다른 생명의 문을 여는 것이니, 생과 사의 거리는 그리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은 아닌 모양이다.
열두 살 먹은 고타마 싯다르타는 ‘농경제’에 나갔다가 농부의 삽날에 반토막으로 잘린 벌레와 그것을 낚아채 가는 새와 그 새를 커다란 발톱으로 움켜잡고 날아가는 독수리를 보며 경악했다고 전한다. 다정다감한 소년 싯다르타는 비정한 ‘먹이 사슬 구조’에 전율하고 깊이 괴로워한다. 이것이 어쩌면 훗날 그의 출가를 결정하는 계기였는지 모른다.
자연계의 순환구조를 약육강식의 인식으로 수용한 소년의 맑은 영혼이 손에 잡힐 듯하다. 우리가 항용(恒用) 일용할 양식으로 수용하는 온갖 먹을거리의 가혹한 운명을 돌이키면 유구무언이다. 30년 수명의 닭이 각종 항생제와 성장 호르몬으로 범벅되어 고작 3주 만에 식탁에 오르는 게 현실이고 보면 가공(可恐)할 세상에서 우리는 살아가는 셈이다.
장의차에 실려 어딘가로 옮아가는 고인의 명복을 빌면서 언젠가 나 역시 저 길을 따라간다고 생각하니 망연해진다. 고작 100년 인생을 천년만년 살 것처럼 갖가지 행악질하면서 권력과 돈에 탐닉하는 군상을 돌이키매 눈앞이 아득해진다. 하늘이여, 유한한 삶에 큰 빛을 내리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