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가능성이 이야기되는 지방 대학을 지키려는 노력이 여러 분야에서 계속되고 있다.
경북도가 7일 지역 대학들과 ‘지방대학·전문대학 활성화 사업 특성화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경북도 및 도내 지방대학·전문대학 활성화 사업 참여 22개 대학 관계관이 참여해 지역-대학 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2023년도 사업 추진 성과와 2024년 사업의 추진 전략 및 방향을 공유했다.
지방대학·전문대학 활성화 사업은 교육부가 비수도권 대학(일반대·전문대) 130여 개를 대상으로 지역 대학과 지자체의 연계·협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각 대학이 지역 발전과 연계된 특성화 전략을 발굴하면 교육부는 대학별 사업비 차등 배분해 지역 발전 전략에 부합하는 대학의 여건 개선과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
경북도는 일반대 10개, 전문대 12개가 지정돼 총사업비 347억 원(2023년 기준)을 확보했다.
이날 참석한 경북도와 대학 관계자들은 올해보다 많은 인센티브를 확보하기 위해 △정주 인재 양성 △수요자 중심의 교육혁신 △지역과 대학의 상생·협력 △지자체-대학의 동반관계를 강화 등을 발표했다.
정성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비수도권 지역과 대학은 소멸의 위험이라는 공동의 위기에 처해있다”며 “대학이 지역 발전에 맞춘 특성화 전략을 찾고 지역의 발전을 이끌 수 있는 혜안을 모아달라”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