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어진 선체가 캄캄한 물속으로 완전히 사라지기까지 고작 52시간은 수십 년처럼 막막하고, 차가운 바다에서 학생들이 죽어갈 동안 땅의 어른들이 헛되이 버린 골든타임 72시간은 억겁처럼 까마득했는데 10년은 참 빨리도 갔다. 너무 빨리 지난 10년이 섬뜩하다. 나는 가끔 악몽을 꾼다. 안개가 자욱한 바다 위에 섬인지 유령선인지 분간할 수 없는 검은 형상이 어른거리는 꿈을. 회색 바다 위로 뒤집힌 배의 구상선수 부분만 떠 있는 이미지는 우리 모두에게 강력한 상징이 됐다. 그것은 곧 어른들의 탐욕과 국가의 부재, 세계의 부조리함을 지시한다.
작년 9주기 때 희생자 이영만군의 형은 동생에게 쓴 편지에서 “영만아, 밖은 아직도 차고 깜깜하다. 시간이 갈수록 잊혀가는 것 같아 무섭다. 9년 동안의 다짐이 모두한테서 희미해지는 것 같아 너무 무섭다”고 했다. 1년이 지나 이제 10년이다. 10년은 기억과 기념의 단위다. 하지만 세월호는 희미해지고 잊혀졌다. 물밑에 잠겨 있던 선체가 인양됐지만 다시 침몰하고 있다. 이쪽에서 아무리 새기고 기억하려 해도 저쪽에서 지우고 덮고 그만 하라 한다. 그만 하라는 말은 가만히 있으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10년 동안 세월호는 어떻게 다시 가라앉았나. 국민의 안전을 지키지 못한 대통령이 탄핵됐다.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약속한 새 대통령이 당선됐으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임기를 마쳤다. 진상 규명은 불충분하고, 국가 책임자 중 처벌 받은 이는 단 한 명뿐이다. 현 대통령은 10주기 기억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기억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의사 표현이다. 대통령의 빈자리는 뒤집힌 배의 구상선수처럼 오히려 불쑥 솟아 있었다. 그 배는 이미 재작년 10월 29일 이태원에서 침몰했다.
그만 하라고, 지겹다고, 해상교통사고일 뿐이라고, 다른 고귀한 죽음들을 기억하라고 윽박지르는 말들이 너무 드세고 거칠어 기가 죽는다. 세월호가 희미해지는 건 이런 드센 말들이 중심 없거나 여린 다수의 마음을 흔들어 여론이라는 걸 잘못 만든 까닭이다. 단원고에 다니는 이윤지 학생은 말한다. “어떤 어른들은 이제 잊으라고 해요. 하지만 그럴수록 더 악착같이 세월호를 떠올릴 거예요. 그래야 더는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을테니까요”라고. 우리 사회의 집단 망각 아래서부터 악착같이 세월호를 띄워 올리려는 사람들이 있다. 어른들은 아니다. 어른들이 MZ라 부르는 세월호 세대가 바로 그들이다.
얼마 전 한 기업의 채용공고에 ‘모집인원 0명’이라고 적힌 문구가 화제였다. 10명 이내 한 자리수를 채용하겠다는 통상적 의미다. 이게 갑자기 문해력 논란으로 번졌다. 0명을 정말 ‘0명’으로 이해해 문제 삼은 누리꾼들을 향해 어른들은 “모르면 배울 생각을 하라”고 충고했다. 충고로 시작해 비난으로 끝난다. 어른들은 MZ세대를 향해 따가운 시선을 보내며 혀를 찬다. 말을 듣지 않는다고, 책임감과 공동체 의식이 없다고.
지금의 20대들은 10년 전 친구들이, 언니 오빠 형 누나 동생들이 “가만히 있으라”는 말을 잘 들어서 죽은 걸 생생하게 봤다. 승객들을 책임져야 할 선장과 선원들이 팬티 바람으로 제일 먼저 탈출하는 걸 똑똑히 봤다. 국가라는 공동체가 국민을 어떻게 버렸는지, 사회라는 곳이 유가족들에게 얼마나 매몰찼는지 다 지켜봤다. 그런데 말을 들으라니, 책임감이라니, 감히 공동체라니.
계몽과 훈육이라는 자기도취적 우월감으로 ‘MZ’ 비아냥거림을 일삼는 어른들이여, 세월호를 정치 이데올로기의 화두로 만들어 욕보인 이들이여. MZ세대가 아니다. 세월호 세대다. 당신들의 위선과 거짓, 무능력, 탐욕이 가득한 세상에서 세월호 생존 학생들 중에는 진로를 바꾼 이들이 있다. 유아교육과에 가려다 응급구조사가 된 장애진씨도 그중 한 명이다. 스킨스쿠버 자격증을 따기 위해 캄캄한 바다에 다시 들어갔을 때 너무나 무서웠다고 한다. 몸서리쳐지는 트라우마와 맞서서 끝내 이겨낸 힘은 “누군가를 구하는 사람이 되겠다”는, 하늘나라의 민지와 민정이에게 다짐한 바로 그 약속이다. “친구들이 돌아오지 못한 이유를 찾기 위해 목소리를 내고 행동하고 응급구조사로서 열심히 일을 한다”는 애진씨는 우리로 하여금 기억하게 한다. 세월호를, 돌아오지 못한 304명의 얼굴과 이름을, 그들과의 약속을, 그 약속 “온몸에 의한 온몸의 이행이 사랑”(김수영)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