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공관위원장 임명<br/>지지율 끌어올릴 전략·전술 절실<br/>김 위원장, 이 대표 출마 권유 관측<br/>지도부 출마 지역 정치권 달굴 듯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개혁신당 공천관리위원장에 임명되면서 개혁신당 지도부의 지역구 차출이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그간 대구출마설이 돌았던 이준석<사진> 대표의 향후 행보가 더욱 주목을 받게 됐다.
개혁신당은 이낙연 대표가 주도하는 새로운미래와의 합당과 내홍, 분당 과정에서 적잖은 내상을 입었고 이로인해 답보하고 있는 당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전략 전술이 절실한 시점이다.
특히 2012년 대선은 새누리당, 2016년 총선은 민주당, 2021년 재보선은 국민의힘에서 치르며 승리로 이끈 바 있는 김종인 공관위원장은 누구보다 이런 사실에는 정통하다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현재 개혁신당 지도부인 이 대표와 대구초등학교를 졸업한 천하람 최고위원의 대구 출마설이 나온다는 것은 이상한 일도 아니다. 다만 대구시민들이 이 대표 등을 보듬어 줄 것인가 하는 부분이 최대 관건이다.
다소 공간이 있다면 국민의힘 공천을 지겨보고 있는 대구시민들 사이에서 점차 실망감이 커진다는 부분이다.
23일 홍준표 대구시장이 언급한 것처럼 이번 국민의힘 공천 프로세스는 ‘무감흥 공천’ 이란 비판에 직면해 있다.
항간에선 공천에서 변화가 거의 없는 대구를 보고 정치 실종이란 얘기를 할 정도다. 이런 마당이다보니 이 대표와 천 최고위원 등 개혁신당 대구공천자들이 패키지로 대구에 뛰어들 경우 판을 뒤흔들 수는 소지는 충분하다.
앞서 김 위원장도 이 대표의 총선 출마와 관련해 지난 17일 CBS라디오에서 “대구·경북에 가서 미래를 약속할 수 있는 지도자감이라는 인식을 받으면 당선될 수 있다”며 대구 출마를 제안한 바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 또한 지난 9일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이준석 대표는 TK지역에 15%내외의 지지율이 있다며 이 대표의 대구 출마를 예상한 바 있다.
이 대표의 대구출마는 이미 지형이 형성돼 있는 셈이다.
더욱이 개혁신당 내부에서도 총선에서 국민적 관심을 끌기 위해서라도 당 지도부가 지역구에서 출마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이뤄져가는 분위기다. 이런 외형적 요소들이 이 대표의 대구출마를 옥죄고 있다.
대구지역 정가에서도 “선거는 지겨보는 재미도 있는데 지금 대구는 너무 밋밋한데다 국힘 공천 끝나면 사실상 장이 마무리되는 것 임을 감안할때 이 대표 등이 대구에 둥지를 튼다면 관심이 커져 제대로 된 판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는다.
따라서 개혁신당 지도부의 대구 출마는 한동안 지역을 달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이 대표의 비례대표 출마를 권유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당 지지율이 정체될 경우 이 대표가 일단 원내에서 당을 이끌어줄 것을 김 위원장이 요구할 것이라는 것이다.
김 위원장이 앞선 인터뷰에서 ‘이 대표가 이번에 국회에 입성하지 못하면 정치 낭인이 된다’고 한 적도 있어 정치적 식견이 탁월한 김 위원장이 이 대표의 미래를 고려, 우선 비례대표로 국회에 등원시킬 가능성도 없지 않기 때문이다. /홍석봉·고세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