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한선은 타자의 키 기준<br/>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5일 제1차 실행위원회를 열고 ABS의 스트라이크 존 기준과 피치 클록의 시행 세칙을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우선 스트라이크 존의 좌우 기준은 홈플레이트 양 사이드에서 2㎝씩 확대하기로 했다.
KBO는 “스트라이크 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현장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라며 “미국프로야구(MLB) 사무국이 마이너리그에서 ABS를 운영할 때 양 사이드를 2.5㎝씩 확대 운영한 사례를 참고했다”고 설명했다.
스트라이크 존 상한선은 타자 신장의 56.35%, 하한선은 27.64% 지점으로 설정된다. 기존 심판들의 평균 스트라이크 존을 근거로 정해졌다. 기존에는 유니폼의 어깨 윗부분과 바지 윗부분 중간의 수평선이 상한선이었고 하한선은 무릎 아랫부분이었다.
투수가 던진 공은 홈 플레이트 중간 면과 끝 면을 지날 때 모두 상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포수가 공을 잡는 위치나 방식과는 상관없다.
ABS는 ‘로봇 심판’으로 불리는 기계가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피치 클록은 주자가 누상에 없으면 18초, 있으면 23초로 설정됐다. MLB보다 각각 3초씩 길다.
타자와 타자 사이에는 30초 안에 공을 던져야 한다.
포수는 피치 클록이 9초 남은 시점까지 포수석에 위치해야 하고 타자는 8초가 남았을 때까지 타격 준비를 마쳐야 한다. 다만 피치 클록은 올 시즌 전반기 시범 운영을 거치기 때문에 위반하더라도 볼·스트라이크 제재를 받진 않는다. 경고만 부여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