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낙서 테러

등록일 2023-12-19 18:29 게재일 2023-12-20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낙서(落書)란 아무 곳이든 자신의 마음이 내키는 대로 무작위로 글을 남기거나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뜻한다. 주로 문화재나 유명 장소의 건물 등에 낙서를 남기는 경우가 많아 낙서 자체에 대한 이미지는 별로 좋지 않다.

그러나 유명 예술가 등은 낙서장을 가지고 다닐만큼 낙서를 통해 습작을 해 창작활동의 한 부분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2013년 일이다. 중국의 한 소년 관광객이 3천년 전 람세스 2세 때 세워진 이집트 룩소르 신전을 관광하면서 그곳에 “△△가 왔다 갔다”는 낙서를 남긴 사실이 알려져 이집트 당국을 놀라게 한 적이 있다. 또 2015년 북경에서는 한 청년이 고궁박물관에 있던 300년 된 구리 항아리에 칼로 연인의 이름을 쓰고 하트 표시를 한 사건이 벌어져 소동이 벌어졌다.


지금은 뜸하지만 우리나라도 한 때는 명승지 바위 등에 자신이 다녀간 기념으로 이름을 새기는 일들이 종종 벌어졌다. 1970년대 대학가 화장실은 불온낙서가 유행해 학교당국이 골머리를 앓기도 했다. 낙서를 지우고 나면 다음날 또 다른 낙서가 생겨나 곳곳에 낙서금지 문안을 붙일 정도였다.


심리학자들은 낙서는 현실에 대한 강한 불만이나 욕구 등이 표출된 표현물로 본다고 했다. 사회적 제도나 규범상으로 용인되지 못하는 일들을 낙서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한다는 말이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있는 경복궁 담벼락이 지난 주말 사이 두 차례 걸쳐 낙서테러를 당해 경찰이 용의자를 쫓고 있다. 우리나라에선 드물게 보는 문화재에 대한 낙서테러란 점에서 범행 동기가 자못 궁금하다. 이유야 어쨌든 문화재 훼손과 복구비 등을 생각하면 엄벌을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