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60세가 되면 환갑이라 부르는데 60년만에 갑(甲)자가 새로 돌아왔다는 의미로 회갑(回甲)이라고도 한다. 한자 문화권에 속한 우리나라는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들이 많다.
77세를 희수(喜壽)라 부르고 88세는 미수(米壽), 99세는 백수(白壽)라 한다. 여기 백수는 100세의 백수(百壽)와 발음은 같으나 한자 중 일(一)자 한획이 빠진 동음이어다. 천수(天壽)는 타고난 수명이라는 뜻으로 120세를 일컫는 말이다.
100세 시대라고 하지만 100세를 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과거보다 백수를 누리는 사람이 많아진 것은 또한 사실이다. 10년 전보다 배 이상 늘어 전국적으로 100세 이상 장수 노인은 2만명을 훨씬 넘는다.
미국 외교계의 거목이자 국제 외교의 전설로 불리는 헨리 키신저가 100세를 일기로 지난달 말 사망했다. 그는 100세의 나이에도 중국을 방문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는 1920년생인데도 아직도 많은 강연과 글쓰기 등으로 바쁜 일과를 보내고 있다고 한다.
통계청이 지난해 기준으로 생명표를 발표했다.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각 연령대 사람들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를 추정한 통계다. 2022년 출생한 아이의 기대 수명이 82.7년으로 조사돼 1년 전보다 0.9년이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사망자가 많이 늘어난 탓으로 풀이했다.
이 통계에 따르면 100세까지 살아남을 생존률은 남자가 0.7%, 여자는 3.1%로 밝혀졌다.
100세 시대라 하지만 100세를 기준으로 보면 아직은 낮은 생존률에 머물고 있다. 모두가 소망하는 100세 시대는 언제쯤 문이 활짝 열릴까.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