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호 도의원, 지역 교육계 질타<br/>“인권위, 학폭처리 미흡 개선 권고”<br/>“지역 교육행정에 대한 경종” 지적
경북교육청이 학교폭력 처리를 두고 법령을 핑계로 책임회피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경북도의회 윤종호 의원(구미6)에 따르면, “국가인권위원회가 경북도교육감에게 학폭 처리에 있어 피해 학생 보호 방안 마련 등을 권고했다”라며 “이는 경북교육청과 일선 학교 등 교육계 전반에 걸쳐 학교폭력 처리 과정에서 책임회피와 법령 핑계로 소홀했던 교육행정에 대한 경종”이라고 지적했다.
현행 ‘학폭예방법 시행령’ 제20조는 가해 학생 전학 조치 사항을 규정하고 있고 제4항에는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이 상급학교에 진학할 때 각각 다른 학교를 ‘배정’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경북교육청은 현재 ‘교육감이 학교를 ‘배정’하는 평준화 지역에서는 위 법 조항이 적용되지만, 학교장이 학생을 ‘선발’하는 비평준화 지역에서는 위 법 조항을 적용할 수 없다’는 해석을 내리고 있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경북교육청 해석에 따르면 경북도는 평준화 지역인 포항시를 제외한 21개 시군은 비평준화 지역이므로 학교 폭력이 발생해도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은 같은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있으며, 피해 학생에 대한 보호조치는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인권위의 권고문에서도 이와 같은 모순적인 부분을 지적하고,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하 “학폭예방법”)에 대한 합목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소극적 해석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윤 의원은 지난해부터 ‘학폭예방법’의 입법 미비로 인한 모순적 상황과 학교폭력 사안처리 과정에서 피해 학생이 받는 부당함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국회와 교육부를 상대로 시행령 개정 촉구 건의안을 발의하는 등 개선을 요청하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학폭예방법 시행령’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정을 검토하는 것으로 의견은 밝혀왔으나 아직 입법예고와 같은 뚜렷한 움직임은 없다.
윤 의원은 “이번 사건과 일련의 처리 과정에서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를 뼈에 새겨 경북 교육계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라며, “특히 학교폭력 사안에서 피해 학생이 계속해서 피해를 보는 부당한 일이 없도록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