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기상청은 지난주 18일 청송 주왕산과 함께 대구 팔공산의 단풍이 물들기 시작했다고 알렸다. 산 전체 중 정상으로부터 20%가 물들면 보통 단풍이 시작된다고 표현한다. 80% 이상 물들었을 때는 절정기다. 대구 경북민이 가장 즐겨찾는 팔공산의 단풍놀이가 이번주부터 드디어 본격화될 것 같다.
팔공산은 대구 남쪽의 비슬산과 함께 대구 일원을 수천년 지켜온 진산(鎭山)이다. 삼국시대 신라인은 아버지 산이라 하여 부악(父嶽)이라고도 했고, 중심되는 산인 중악(中嶽)이라고도 불렀다. 풍수지리학자는 양기가 강한 아버지 산인 팔공산과 부드러움이 있는 어머니 산 비슬산이 대구사람에게 기를 불어넣었다고도 한다.
원래는 공산이란 이름을 가졌으나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과 이곳에서 전투를 벌이다 신숭겸 등 8명의 장수를 잃어버려 그들을 기린다는 뜻에서 팔공산으로 바꾸어 불렀다고 전한다. 팔공산 주변에는 아직도 공산전투와 관련한 지명이 많이 남아 있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최고봉인 팔공산 비로봉(1192m)은 봉황의 머리, 동봉과 서봉은 봉황의 날개에 해당하며 동화사가 자리잡은 곳은 봉황의 아기궁이어서 겨울에도 동백꽃이 필 정도로 따뜻하다고 한다. 게다가 한가지 소원은 들어준다는 우리나라 영험한 기도처 갓바위가 위치해 팔공산의 신비로움을 더해주고 있다.
지난 5월 23일 팔공산은 우리나라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첫해의 단풍철이다. 대구지방기상청은 오는 27일에서 28일사이가 절정기가 될 것 같다고 전한다.
신비와 스토리가 많은 팔공산 단풍 구경의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겠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