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포악발(吐哺握髮)’은 중국 주(周)나라의 주공(周公)이 식사할 때나 목욕할 때 손님이 찾아오면 ‘입에 있는 음식을 뱉고, 감고 있던 머리를 감싸쥐고’ 나가 영접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했다. 민심 수습과 정무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훌륭한 인물을 잃을까 두려워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말로도 쓰인다. 한나라 때 한영이 지은 한시외전(韓詩外傳)에 나오는 이야기다.
주나라는 무왕이 은나라 폭군 주왕(紂王)을 멸하고 세운 나라다. 무왕이 나라를 잘 다스려 정국을 안정시켜 가던 중 병사했다. 아들 성왕(成王)이 제위에 오르자,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등 나라가 혼란에 빠졌다. 이에 무왕의 아우이자 성왕의 삼촌인 주공단(周公旦)이 섭정하며 주왕조의 기반을 굳건히 했다. 공자는 주공단이 며칠이라도 꿈속에 나타나지 않으면 자신의 학문에 대한 열정이 식었다고 생각할 정도로 주공단을 이상적인 정치가로 꼽고 존경했다. 주공은 봉건제를 실시, 왕실의 안정을 꾀했다. 이때 주공의 아들 백금이 노나라로 부임하게 되자 주공은 “나는 한 번 씻을 때 세 번 머리를 거머쥐고(一沐三握髮), 한 번 먹을 때 세 번 음식을 뱉으면서(一飯三吐哺) 천하의 인재를 잃을까 염려했다”고 지침을 주었다. 주공은 아들에게 정무를 잘 보살피려면 잠시도 편히 쉴 틈이 없고 훌륭한 인물을 얻으려면 정성을 다해야 한다는 점을 당부했다.
위정자는 항상 인재를 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서울 강서구청장 선거 패배로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 스타일이 바뀔지 주목된다. 만기친람(萬機親覽)할 수는 없다. 정치권도 내년 총선을 앞두고 인재영입에 노심초사다. 토포악발의 심정으로 국정에 임하고 인재 구하기에 힘써야 할 터이다.
/홍석봉(대구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