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인 1골 1도움·정우영 골맛<br/>홍현석·설영우도 좋은 몸놀림<br/>클린스만호, 베트남 6대0 완파
2026 북중미 월드컵 예선을 앞두고 사실상 마지막 실전 점검 기회였던 10월 A매치 기간 축구 국가대표팀은 위르겐 클린스만(독일) 대표팀 감독 부임 이후 최고의 시간을 보냈다.
13일 튀니지와의 경기(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4-0 완승을 거둔 데 이어 17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는 베트남을 상대로 6골을 폭발하며 6-0 대승을 챙겼다.
2경기에서 10골을 몰아치고 실점은 하나도 하지 않으며 좋은 흐름을 이어갔다.
특히 고무적인 건 이달 초까지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한국의 금메달 획득에 앞장선 뒤 곧장 이번 A매치로 합류한 선수들이 활약을 이어가며 활력을 불어넣은 점이다.
이번 A매치 기간 클린스만호에는 아시안게임 대표 선수 중 이강인(22·파리 생제르맹), 정우영(24·슈투트가르트), 홍현석(24·헨트), 설영우(24·울산)가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이전에도 클린스만 감독이 뽑은 적이 있는 선수들이지만,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계기로 한층 오른 자신감을 A대표팀에서도 발산하며 2연승에 단단히 한몫했다.
이강인은 프랑스 최고의 명문 팀 파리 생제르맹에 입단하고 아시안게임 금메달로 유럽 무대에서 오래 활약할 발판을 마련한 뒤 나선 이번 A매치에서 이제 한국 축구의 ‘미래’가 아닌 ‘현재’임을 분명히 했다.
손흥민(토트넘)이 결장했던 튀니지전에서 멋진 왼발 프리킥으로 A매치 데뷔골을 뽑아낸 뒤 두 번째 골까지 터뜨렸고, 베트남과의 경기에선 풀타임을 소화한 가운데 1골 1도움을 보태며 펄펄 날았다.
아시안게임에서 8골로 득점왕에 올라 금메달의 일등 공신으로 꼽힌 정우영은 2경기 모두 후반 교체로 출전한 가운데서도 존재감을 떨쳤다.
2선에서 다양하게 움직이며 원래 골을 많이 넣는 선수는 아니었던 그는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득점에 눈을 떴다는 평가를 받는데, 베트남전에선 후반전 중반 교체 투입된 뒤 후반 41분 자신의 A매치 3호 골로 팀의 마지막 득점을 남겼다. 그의 A매치 득점은 지난해 6월 파라과이와 평가전 이후 1년 4개월 만이었다.
그동안은 이름이 같은 베테랑 미드필더 정우영(33·알칼리지)에 이은 ‘작은 정우영’으로 더 많이 불렸던 그에게서 서서히 ‘작은’이라는 수식어가 사라지는 모양새다.
아시안게임 때 중국과의 8강전 ‘송곳 프리킥 골’ 등으로 각인된 홍현석은 튀니지전 애초 선발이던 황인범(즈베즈다)이 경기 전 몸을 풀다가 근육 이상을 느껴 뛸 수 없게 되면서 전격 선발 출격, 중원을 누비며 임무를 완수했다.
아시안게임에 와일드카드로 나섰던 설영우는 이달 2경기 연속 선발 출전으로 대표팀 풀백 한자리를 확실히 꿰찬 모습이다.
3월 A매치 기간 도중 다친 김진수 (전북)의 대체 선수로 처음 발탁된 뒤 연이어 기회를 얻은 설영우는 9월 A매치 2경기 모두 선발로 나선 뒤 아시안게임에 다녀와 이달에도 연속 선발 출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