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선거와 반면교사

등록일 2023-10-15 19:28 게재일 2023-10-16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반면교사(反面敎師)는 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나쁜 측면에서 가르침을 얻는다는 뜻이다. 쉽게 말하면 어떤 사람이 사업에 실패했다면 그 사람의 실패를 통해 교훈을 얻고 사업을 성공시켜간다는 것이다.

비슷한 말로 타산지석(他山之石)이 있다. 다른 사람의 성공이나 실패를 통해 자신의 행동 양식을 개선해 나갈 때 쓰는 말이다. 반면교사는 부정적 대상을 가르키는 말이나 타산지석은 꼭 그런 게 아니란 점에서 뉘앙스 차이가 있다. 그러나 두 가지 모두 교훈으로 삼아 나에게 도움이 되게 한다는 뜻에서 의미는 같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선 결과를 놓고 국민의힘 내 뒷말이 무성하다. 특히 야당에 큰 격차로 패배하자 안팎에서 쏟아지는 강한 비판으로 임명직 당직자들이 전원 사퇴하는 등 혼돈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파격적 쇄신이 없으면 내년 4월 총선도 어려울 것이란 비판에 당이 어떤 대책을 강구할지 궁금하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보선 결과를 두고 “파천황(破天荒)의 변화 없이는 내년 총선도 어렵다”고 말했다. 파천황은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의 상태를 깨고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는 뜻인데, 홍 시장의 파천황 표현은 천지개벽에 버금갈 변화를 만들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치권의 승패를 두고 흔히 병가지상사란 말로 서로 위안을 삼을 때가 많으나 정치는 승리자의 몫이다. 그들이 추구하는 정치이념을 실현하려면 현실 정치에서 우위는 필수다.

공자는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그 중에 나의 스승이 있다”했다. 모든 게 교훈이 된다는 말이다. 여당이 쏟아지는 비판을 어떻게 수용하고 자기 혁신의 도구로 삼을지 모르나 국민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내년 선거도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