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현장 점검…강력 대응 나서<br/> 총력대응 위한 예산지원 등 건의<br/>“과학·효율적인 방법 적극 도입도”
속보= ‘포항 호미곶면 일대 소나무 군락지의 재선충 집단 고사현상이 심각하다’는 본지<6월28일자 4면>의 보도가 나온지 3개월여만에 포항시와 산림청·경북도가 공동으로 강력 대응에 나섰다.
포항시는 9일 “올해 구룡포읍 부터 호미곶까지 해안선을 따라 산림 2만1천헥타르에서 소나무 20만여그루가 고사했다”면서 “재선충병에다 지난 겨울철 가뭄, 봄철 고온현상 등 이상 기후, 염해피해까지 겹치면서 소나무 집단 고사현상이 더욱 심해졌다”고 밝혔다.
이어 “8·9월 태풍 때에는 재선충병으로 약해진 많은 소나무들이 밑둥 부터 뿌리채 뽑혔다”면서 “시는 지난 6일 소나무 집단 고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림청·경북도와 공동으로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진행된 점검에서 포항시는 남성현 산림청장에게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현장 상황을 설명하고 총력대응을 위한 예산지원 등을 건의했다.
남구지역 중 호미곶면은 과거 국방시설 내 지뢰 매설지가 위치해 인력 접근이 위험한데다 동해면 장기면 지역은 군부대 시설이 있어 방제작업이 제한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 구룡포읍·장기면·동해면 내 해안가 지역은 수년간에 걸친 태풍 피해와 지속적인 해무로 인한 염분 피해로 소나무의 생육 환경이 나빠져 재선충병 감염에 취약한 지역으로 분석되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해부터 이 지역을 복합 방제 구역으로 구분해 재선충병 방제 및 숲 가꾸기 사업을 병행하며 방제를 추진중”이라면서 “하지만 피해면적이 광범위하고 피해 규모도 너무 넓어 대안 찾기에 고심 중이었다”고 말했다.
향후 포항시는 산림청의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피해지역의 지형과 특성에 맞게 드론을 활용, 약제를 분사하는 한편 재선충 집단 발생지의 소나무 모두베기 등의 방제작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산림청 헬기와 시 자체 임차 헬기를 활용한 재선충 구제활동도 계획하고 있다.
이상철 포항시 정무특보는 “남구 해안권 집단발생지의 피해 유형에 따라 복합적인 방제 작업을 벌일 것”이라며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방법도 적극 도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