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청소년 비만

등록일 2023-10-05 19:53 게재일 2023-10-06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질병을 일컫는 말이다. 체중이 정상 범위보다 높지만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률이 낮은 경우는 비만이라 하지 않는다.

과거 먹을 것이 부족했던 사회에서는 비만인 사람을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오히려 비만 자체가 부와 여유로움의 상징으로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우리나라도 1970년대까지만 해도 살이 찐 사람은 부러움의 대상으로 통하던 시절이 있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한국인 비만율은 1998년에는 26% 정도였다. 이것이 2005년 30%를 넘어섰고, 2020년에 38.3%였으나 코로나 영향으로 2021년에는 37.1%로 감소했다. OECD 기준으로 볼 때 한국의 비만인구는 OECD 평균의 4분의 1수준으로 매우 낮다.

한자 문화권으로 분류되는 한국과 중국, 싱가포르 등 동남아국가들은 서구에 비해 비만 정도가 낮다. 채식위주 식습관을 가진 베트남은 세계적으로 비만이 가장 낮은 나라다.

문제는 비만이 불러오는 질병에 있다. 고열량 저영양 가공식품이나 음료 등을 즐겨 마시면 당뇨나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에 쉽게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면서 서구화된 식생활에 익숙해지면 고도비만도 불러올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비만이 늘고 있어 부모들의 경각심이 요구된다는 소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비만으로 진료받은 중학생이 4년전보다 3.1배 늘었고, 또 같은 기간 20대 청년층에서는 당뇨 환자수가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의 대표적 길거리 음식인 고당분의 탕후루같은 식품류가 청소년의 건강을 위협한다고 한다. 청소년기 비만 가볍게 보다가는 큰코다칠 일이 된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