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의 버저 비터는 경기종료를 알리는 버저소리와 함께 성공된 골을 일컫는 말이다. 엎치락뒤치락하는 농구경기에서 버저 비터로 승부가 뒤집히는 일이 적지 않다. 축구 경기에서도 종료 직전 터진 골이 승부를 되돌려 놓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관중과 팬에겐 짜릿한 감동을 선사한다. 특히 연장전 종료 직전 터지는 골은 더욱 극적이다.
1970년대 고교야구의 명문인 군산상고는 9회말 역전극의 대명사였다. 1971년 황금사자기 결승전의 짜릿한 역전우승은 군산상고의 트레이드마크가 됐다. 9회 말 투아웃 투스트라이크의 절체절명의 상황에 극적인 안타를 터뜨려 역전 우승의 기적을 만들었다. 여기서 ‘역전의 명수’ 군산상고가 탄생했다. 이후 군산상고는 고교야구 메이저 대회를 석권하면서 여러 차례 1점 차 역전승을 하는 등 눈부신 활약을 했다.
육상 경기와 스케이트 경기에서도 막판 불꽃같은 질주로 승부를 뒤집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처럼 스포츠 경기에서 막판까지 긴장을 늦추지 못하게하는 뒤집기 승부는 그만큼 팬들에게 감동과 기쁨을 준다. 상대방으로 봐선 막판 방심했다가 천려일실이 된다. 그런 일이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벌어졌다. 막판 1위를 자신하고 세리머니를 하다가 뒤따라온 선수에게 지고 마는 황당한 일이 발생했다. 한국 남자 롤러스케이팅 대표팀이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3000m 계주에서 결승선 통과 직전 우승을 확신한 만세 세리머니를 하다 간발의 차로 대만에 추월 당해 금메달을 놓쳤다. 딱 0.01초 차이였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라는 점을 잊고 방심한 탓이다. 계주 마지막 주자의 방심의 결과는 메달 색깔을 바꿔놓았다. 매사에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값진 교훈을 남겼다.
/홍석봉(대구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