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 가장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노인 가장이라 하면 다소 생소한 느낌이 들지만 노인+가장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게 된다.
복지부 자료에 의하면 사회적으로 통상 은퇴연령으로 여겨지는 60대 이상인데도 직장에 나가면서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노인 가장이 100만명을 넘어섰다. 피부양자가 있는 60대 이상 직장가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이 숫자는 10년 전 보다 약 두배 가량이 늘어난 것이다.
내년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가 1천만명을 돌파한다. 갈수록 증가하는 노인인구로 노인들의 활동 영역이 넓어지는 것은 당연한 흐름이겠지만 노인 가장이 증가하는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젊은이의 취업이 활발해지고 노인들은 은퇴 후 생활을 즐기는 것이 선진복지 국가의 패턴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 일하는 노인이 가장 많다. 65세 이상 인구의 3분의 1이 일터에 나가 있다. 은퇴 후 노후를 즐겨야 할 나이에 일을 해야 할만큼 경제사정이 좋지 않다는 뜻이다. 도로교통공단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버스, 택시, 화물차 등 전체 사업용 운수종사자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20.8%를 차지했다. 택시의 경우는 종사의 40%가 고령층으로 밝혀졌다.
은퇴 후에도 일을 한다는 것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노인의 대다수가 생계문제로 일을 하고 있기에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다. 이는 우리나라 노인들에 대한 복지가 그만큼 부족하다는 의미다.
2일은 노인의 날이다. 노인 가장이 늘어나는 현실에 대처할 정부 차원의 대책이 서둘러 나와야한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