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둘째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에서 환경과 관련한 교육이 늘어났다. 아이는 환경보호를 주제로 한 도서 읽기, 쓰레기 재활용 마크 교육, 10분 동안 소등하기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한편 우리 대학은 2022년 환경부 ‘그린 캠퍼스 조성사업’에 선정되어 ‘지속가능발전센터’를 조직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 과제를 마련했으며, 지난 9월 11일부터 22일까지 ‘그린 캠퍼스 탄소중립 실천 확산 캠페인’을 실시했다. 중고등학교에서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교육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니,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계 전반의 관심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전히 지속 가능한 발전을 환경보호 수준으로 이해하는 사람이 많은 현실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2015년 제70차 유엔총회에서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5개 영역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 목표로 이루어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발표되었다. 17개 목표에는 ‘기후변화와 대응’ ‘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등과 같이 환경 문제도 있지만,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성평등 보장’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 등과 같은 교육과 경제 영역의 목표도 존재한다. 요컨대 지속 가능한 발전은 환경보호라는 과거의 인식이 아니라 정치, 경제, 환경, 교육 등 다양한 영역의 연결성을 확인하고 새롭게 재편하려는 문제의식이 담긴 것이다. 일단 이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시야를 확대하고 우리나라의 현실을 생각해보자. 초등학교 선생님의 연이은 극단적 선택이나 젠더 갈등을 떠올리면 지속 가능한 발전은 요원한 일로 보인다. 하지만 환경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에서 발간한 2022년 ‘국가지속가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 ‘성평등 보장’ 항목은 모두 ‘맑음’에 해당한다. ‘취학률’‘고등학교 이수율’‘피임 실천율’ 등의 지표로 해당 목표를 평가하기 때문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지속가능발전’이란 개념에 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은 근대화 과정에서 ‘경제성장’이란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문제를 여전히 ‘경제성장’을 포기하지 않으며 해결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모순이다. 2023년 상반기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70으로 바닥을 모르고 내려가고 있다. 모두가 출산율 위기를 말하지만, ‘NO KIDS ZONE’이 존재하는 우리나라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말하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현상이 깊게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가령 기후 위기와 학벌주의는 어떤 공통된 토대에서 벌어진 현상일까? 이대남·이대녀 문제와 갑질 학부모는 어떻게 연결될까? 등과 같은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 지속 가능한 발전이란 17개 목표를 연결할 수 있는 인식력을 갖출 때야 비로소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