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스마트농업이 일취월장이다. 스마트농업은 어느덧 대세가 됐다. 원격으로 농장의 온·습도를 조절하고 영양제 및 농약 살포까지 가능한 시대다. 하지만 스마트팜 조성 사업은 초기 비용이 많이 드는 제한이 있다. 기술도 필요하지만 시설 투자를 할 수 있는 돈이 없으면 어렵다. 이에 경북도가 나섰다. 경북도는 큰 비용이 들어가는 스마트팜에 농업인들이 적정 임대료로 경영할 수 있는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키로 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거점으로 권역별로 확대하기로 했다.
시설하우스에 한정됐던 스마트팜은 노지로까지 확대된다. 경북도는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 사업을 위해 의성 사곡면에 95ha 면적을 확보, 3년간 245억 원을 투자해 스마트 관수, 자율주행 트랙터와 연계한 스마트 농기계 등을 지원키로 했다. 스마트 팜 영농의 노지 확대는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농촌 일손을 크게 덜 수 있다. 기업도 참여, 스마트 팜 용도로 개발한 트랙터, 콤바인 등 각종 농기계를 시험할 수 있고 기술 개발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첨단 농업은 생산뿐만 아니라 유통, 축산 분야까지 확대된다. 경북도는 센서와 로봇을 이용해 자동으로 저장, 선별, 포장하는 스마트농산물산지유통센터 5곳을 만들기로 했다. 축산 분야도 원격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산시키기로 했다.
인구 감소 및 고령화에 시달리는 농촌이 첨단기술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관행 농업에서 탈피, 기후 변화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정 등 요인까지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스마트농업은 농·어업 전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AI의 참여가 눈앞에 다가왔다. 농업의 진화는 계속된다.
/홍석봉(대구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