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등록일 2023-09-20 19:30 게재일 2023-09-21 19면
스크랩버튼
홍석봉 대구지사장
홍석봉 대구지사장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는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뜻으로, 재물에 욕심을 부릴 필요가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원불교는 ‘인생의 무상과 허무를 나타내는 말’로서, 재물이나 권세나 명예를 지나치게 탐(貪)하지 말고 분수에 맞게 살라는 가르침으로 풀이한다.

고대 선시에서 나온 말로 고려말의 고승 ‘나옹화상’의 누나가 지었다는 ‘부운 (浮雲)’에서 유례했다. 불교에서 연유한 말이기도 하다.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것이 인생이다(空手來空手去是人生)/ 낳을 때는 어느 곳에서 왔으며, 죽을 때는 어느 곳으로 가는 가(生從何處來 死向何處去)/ 낳는다는 것은 한 조각구름이 일어나는 것이며(生也一片浮雲起)/ 죽는 것은 한 조각구름이 없어지는 것이니(死也一片浮雲滅)…./’

삼성그룹 영빈관인 승지원에는 호암 이병철 삼성 창업주가 쓴 서예작품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가 걸려 있다. 이병철 회장은 이 글귀를 쓴 많은 작품을 남겼다. 이건희 회장도 자신의 집무실에 이 작품을 걸어 놓고 늘 가까이했다. 2021년 이건희 회장과 유족은 유산의 약 60%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했다.

이종환 삼영화학그룹 명예회장은 ‘인생은 빈손으로 왔다가 손을 채운 다음 갈 때는 빈손으로 가는 것’이라는 뜻의 ‘공수래(空手來), 만수유(滿手有), 공수거(空手去)’라는 말을 남겼다.

얼마 전 100세를 일기로 타계한 그는 생전 1조7천여억 원을 장학재단에 기부, 우리나라 기부문화에 이정표를 세웠다.

‘영끌’ 등 재산을 모으기 위해 아둥바둥하는 게 현실이지만 결국 빈손으로 돌아간다. 욕심 부려야 하등 소용없다. 김연자의 노래처럼 산다는 것은 다 그런 것이다.

/홍석봉(대구지사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