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청년들이 많이 아프다. 경북의 청년 인구가 빠르게 줄고 있다. 2037년이면 경북도민 10명 중 청년은 2명이 채 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됐다. 출생 인구가 줄면서 청년 인구도 함께 줄고 있다. 유입 보다 유출이 더 많다. 교육환경이 좋고 일자리가 풍부한 수도권으로 계속 빠져나간다. 직업이 가장 큰 이유다. 가족, 교육 등이 다음 순위다.
대학을 졸업해도 일자리가 없는 ‘청년 백수’가 126만 명이라는 통계도 있다. 졸업자 열 명 중 3, 4명은 백수다. 아예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그냥 쉰다는 청년도 32만 명이라고 한다. 속칭 ‘니트족’이다.
취업은 결혼과 출산에도 영향을 미친다. 청년 3명 중 1명 만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본다. 청년 중 절반 이상은 결혼해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청년들의 결혼관과 자녀관이 크게 바뀌었다.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는 경제 문제를 첫 손 꼽는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로 빚더미에 올라 인생을 저당잡히는 이들이 적잖다. 청년들의 현주소다.
청년 유출은 지방소멸과 직결된다. 정부 차원에서도 지방소멸과 균형발전을 위해 여러가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그다지 효과가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올해 9월 16일)은 ‘청년의 날’이다. 청년 문제에 관심을 높이기 위해 2020년 법정기념일로 지정됐다. 경북도가 12일 경주에서 청년의 날 행사를 열었다. 지역 청년들이 참여하는 각종 이벤트가 마련됐다. 청년들의 고민을 함께 논의하는 자리도 가졌다. 이철우 도지사는 “청년이 모이고, 지방에 살아도 희망 가질 수 있도록 대전환을 이루겠다”고 했다. 청년들에게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홍석봉(대구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