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과 가을은 기온은 비슷하지만 날씨의 변화는 확연히 다르다. 봄철에는 소나기 등이 자주 내리기도 하고 계절 내내 심한 바람도 많이 분다. 반면에 가을은 바람이 불어도 산들산들 불고, 청명한 날씨가 며칠씩 이어지는 등 얌전한 날씨가 특징이다.
음양오행설은 이런 계절의 차이를 기운(氣運)으로 풀이한다. 봄은 온갖 만물이 소생하는 것처럼 발산하는 기운이 가득하고, 가을은 결실을 맺는 수렴의 기운이 세다고 한다. “봄바람 났다”는 말은 있으나 “가을바람 났다”는 말이 없는 이유다.
등화가친(燈火可親)은 “등불을 가까이할 수 있다”는 뜻으로 가을을 가리키는 말이다. 고대 중국의 문인 한유(韓愈)가 독서를 권장하는 시에서 한 구절 따와 유래가 됐다고 한다.
옛 우리 선비들도 가을이 오면 한여름 무더위에 흐트러진 마음을 다잡고 글 읽기에 정진했다. 특히 수확이 풍성한 가을은 마음이 안정돼 공부하기에 더없이 좋은 계절로 꼽았다.
우리나라 국민의 독서율이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보급으로 갈수록 저조하다. 문체부가 조사한 국민독서실태 조사(2021년 기준)에서 국민의 연간 독서율(전자책, 오디어북 포함)은 47.5%에 그쳤다. 성인 두명 중 한명은 1년간 책을 한 번도 읽지 않는다는 의미다. 읽은 사람의 연간 독서량도 9.5권에 그쳐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독서는 인간과 세상을 이해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다. 복잡한 세상에 사리분별력을 키워주는 데도 도움이 된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의 사고발달에 매우 유익하다. 영국의 낭만파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는 “책은 한권 한권이 하나의 세계다”고 말했다. 가을의 길목에서 독서의 세계로 빠져보자.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