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술핵 공격잠수함

등록일 2023-09-10 18:33 게재일 2023-09-11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북한이 전술핵 공격잠수함을 전격 공개하면서 또 한번 국제사회의 이목을 끌었다. 우리 군은 “무리한 제조로 완성도가 떨어져 정상적 운용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을 내놓았지만 북한의 핵무기가 수중의 잠수함에까지 운용될 수 있다는 것은 우리 안보에 상당한 위협이다.

이번 공개된 북한의 전술핵 잠수함은 수중에서 한국 전역은 물론 주일미군기지까지 기습 핵타격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개된 전술핵 잠수함에는 총 10개의 수직발사관이 있어 잠수함탄도미사일(SLBM)을 최대 10기까지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한미가 기존에 구축한 미사일방어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격이다. 북한은 기존에 배치된 70여척의 잠수함에도 전술핵을 탑재하고 김정은은 핵잠수함 도입까지도 호언장담하는 상황이다. 특히 북한의 핵전술잠수함 개발은 북한핵의 완성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우리의 대응에 주목이 된다. 지난 2010년 3월 백령도 앞바다에서 북한 해군잠수함의 어뢰 한 발로 우리 천안함이 폭침당하고 장병 48명이 목숨을 잃었다. 핵전술잠수함에 의한 도발이 이뤄진다고 상상한다면 끔찍하다.

북한의 핵도발에 대한 한국 독자 핵무장론이 힘을 받고 있다. 국민의 71%가 핵무기 보유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 된 바도 있어 핵에는 핵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먹혀드는 분위기다.

지난 1월 윤석열 대통령이 “북핵 문제가 심각해지면 한국이 자체 핵을 보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비핵화 지위 및 비확산체제 지지라는 전제가 달린 주장이지만 북한의 핵위협에 우리도 가만히 있을 수는 없다는 뜻이다. 핵추진잠수함에는 핵추진잠수함으로 대응하는 우리의 준비가 필요하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