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는 도다리 가을에는 전어라는 말이 있다. 제철에 먹는 음식이 맛도 있고 영양도 좋다는 뜻이다.
청어과에 속하는 전어는 몸길이가 15∼31㎝ 크기로 동아시아 연안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볼록한 배와 가로로 갈려져 나온 등지느러미가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남해안에서 많이 잡히며 주로 회, 구이, 찜, 젓갈 등으로 해먹고 있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전어를 깍두기와 함께 담궈 먹는 전어깍두기도 있다.
조선시대 학자 서유구가 쓴 ‘임원경제지’에는 전어를 두고 신분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좋아한 고기라 설명하고 제철 가격이 한 마리당 비단 한필과 맞먹는다고 했다. 또 맛이 뛰어나기 때문에 사람들이 돈에 상관없이 전어를 찾는다 하여 돈 전(錢)과 고기 어(魚)를 써 전어(錢魚)로 불렸다고 한다.
전어는 계절적으로 가을 전어를 최고로 친다. 몸에 기름기가 많이 올라 영양도 풍부하기 때문이다.
“가을 전어에 참깨가 서말 있다”는 말과 “가을 전어 굽는 냄새에 집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말은 가을철 전어의 맛이 최고라는 것이다. 겨울을 나기 위해 가을부터 몸속에 지방을 축적한 전어는 이때쯤 지방함유량이 평소의 3배에 달한다.
해마다 한 더위가 꺾인 8월말 쯤 전국 곳곳에서 전어축제가 열린다. 올해도 삼천포, 광양, 마산, 사천, 하동 등지에서 전어축제가 열렸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로 소비가 움츠러들 것을 걱정했으나 예상밖으로 많은 인파가 몰려 축제를 무사히 마쳤다고 한다.
오염수 파동 속에 기대 이상으로 축제를 잘 마친 상인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그러나 오염수 논란이 쉽게 끝날 것 같지 않아 마음 한쪽은 여전히 불편감에 휩싸여 있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