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에 영향을 받아 큰 폭으로 오르던 국내 소비자 물가가 조금씩 안정세를 잡아가는 모양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이와 관련, “6∼7월 쯤에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낮아질 것”이라 예상했다. 그는 이와 함께 라면값 인상 문제를 거론하며 “지난해 9-10월 기업들이 국제 밀가격 상승을 이유로 라면값을 크게 인상했는데, 최근 밀가격이 절반 정도 떨어졌으니 가격도 적정하게 내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국제 밀가격이 떨어진 만큼 소비자 가격에 반영해 달라는 뜻이다.
관련업계도 정부의 공식적인 요청은 없으나 추 부총리의 언급이 부담스러워 가격 인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 부총리가 물가와 관련해 굳이 라면값을 언급한 것은 라면이 대표 서민음식으로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가가 안정세에 들어갈 것 같다는 추 총리의 전망에도 국내 외식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이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3.3% 올랐는데 반해 외식물가는 7% 가까이 뛰었다. 서민들이 즐겨 찾는 냉면, 자장면, 김밥 등은 지난 5년동안 40%가 올랐다.
라면 한그릇 4천500원, 김밥은 한줄에 5천원을 육박한다. 여름철 대중음식인 냉면은 1만원을 훌쩍 넘었다. 1만원이하 식사가 사라졌다는 말과 점심값이 급등했다는 뜻의 런치플레이션이 유행하는 시대다. 점심 먹고 커피 한잔하면 2∼3만원의 금액이 사라질 판이니 직장인에게 점심은 매우 부담스런 일이 됐다.
따지고 보면 외식물가 상승도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다. 정부의 압박으로 라면값이 내리면 외식물가도 잡힐까. 그렇지 않다. 외식물가를 잡을 정부의 특단 대책도 나와야 한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