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뭄정보포털(www.droug ht.go.kr)에 들어가 보면 2023년 6월 12일 현재 가뭄 기초지자체는 전체 167개 중 47개(28.1%)인데, 대구광역시는 전역(8개 구·군), 경상북도는 11개로 전국의 40%에 육박한다. 그리고 대구·경북의 가뭄 상태는 7월과 8월에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한다.
과거 2018년에도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운문댐 저수량이 고갈되어 금호강에 비상급수 시설을 설치하였고, 대구광역시 전 지역이 최근 광주광역시가 처한 제한 급수 시행 직전 역대급 가뭄 수준에 직면하였었다.
지난 10년간(2011~2020년) 낙동강유역에서 발생한 수질사고는 144건으로 연평균 14건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조류경보 발령일수(강정고령 기준)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는 중·상류 지역에 대규모 공단과 도시가 있어 오염원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낙동강유역에서 물이용현황을 살펴보면 2018년 기준 연간 이용량 110.3억t 가운데 댐 53.3억t, 하천수 44.8억t, 지하수 7.2억t 등 원수 그대로의 이용량이 총 이용량의 95.4%로 대부분이다.
반면에 빗물 0.01억t, ‘중수도’ 0.8억t, 그리고 하·폐수처리수재이용 4.3억t으로 물재이용 총량은 총 이용량의 4.6%에 불과하다.
이러한 낮은 물 재이용 수준은 기후변화로 인해 점점 심각해지는 가뭄과 수질 악화에 대응한 맑은 물의 안정적인 확보를 더욱 어렵게 할 수밖에 없다. 물의 가치는 생명의 근원으로서 필수적이며, 산업과 경제의 핵심 자원으로 작용한다. 물의 부족과 오염은 건강, 식량 생산, 산업 생산 등을 위협한다.
이러한 물의 가치를 인식하고 보호하여 효율적인 사용과 지속 가능한 관리를 실현해야 한다. 즉, 물의 가치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결국 우리는 이러한 소중한 물의 가치 실현을 위해서도 물재이용률을 극대화 해야한다. 국민 물복지를 위해 실제 물의 값어치보다 극히 낮은 물값으로 공급된다고 물을 함부로 관리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국가가 법으로 촉진하는 물재이용 수단은 빗물, ‘중수도’, 하·폐수처리수 3가지가 있다.
이중에서 ‘중수도’는 일정 규모 이상의 숙박·목욕장업 시설물, 공장과 발전시설, 관광 및 산업단지, 택지 등 도시개발지역 등에서 하·폐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지 않고 자체 처리하여 재이용하는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 개념이다.
‘중수도’는 대구광역시의 구도심과 같이 급격한 도시개발과 함께 합류식 하수도로 도심 말단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일거에 하수와 빗물을 내보낼 수밖에 없는 지역에서는 새로운 물순환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와 생활양식이 유사한 일본에서는 시청사 등 공공시설 위주로 ‘중수도’를 도입하여 원수 사용량은 60%, 하수종말처리량은 70% 수준까지 절감하고 있다.
대구는 앞으로 공항, 군부대 및 노후 산업단지 등 엄청난 규모의 이전 후적지에 ‘중수도 시스템’ 도입을 통해 ‘2050 탄소중립 달성’, ‘맑은물 하이웨이 구축’과 ‘글로벌 물산업 허브도시 조성’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도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