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포항 방문 등 관심 고조<br/>탄소중립 공법 전환 잠재력 확인<br/>포스코 2030년 100만t 설비 개발
포스코가 추진중인 수소환원제철소가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경북도가 지역 미래 성장동력의 축으로 판단, 포항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총력을 쏟기로 한 가운데 정부가 국내 최대 철강사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공법 전환 대응 노력을 점검하고 향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황수성 산업기반실장이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방문해 탄소 다배출 업종인 철강업계의 탄소중립 대응 노력을 점검하고 업계의 의견을 듣는 등 비상한 관심이다.
사실 탄소중립은 포스코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으로 수행해야 할 거대 프로젝트로 미래생존과 직결된다. 정부와 산업계는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다른국가보다 탄소중립에 더 많은 비용과 노력을 쏟아야 할 것으로 보고 있는 만큼 보다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다음달 ‘탄소중립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연구 수행 기관을 선정해 이같은 철강 업계의 탄소중립을 본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 해당 사업에 국비 6천947억원이 투입되며 이 중 1천204억원이 포스코 등 철강 업계에 지원된다.
이날 포스코는 간담회에서 2025년까지 자사의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 설계 기술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100만t급 실증 생산 설비 개발을 완료하겠다는 일정표를 제시했다.
포스코는 2050년까지 현재의 탄소 기반 제철 설비를 모두 수소환원제철 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현재 포스코 등 세계 주요 제철사가 쓰는 전통적 고로(용광로) 공정은 철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공된 유연탄인 코스크로 철광석의 산소를 제거해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수소환원제철은 탄소 덩어리 코크스 대신 수소를 이용해 이산화탄소 대신 물을 배출해 탄소중립을 실현한다.
한국의 2050년 산업 부문 탄소배출 감축 목표는 2018년 대비 2억1천만t으로, 이 중 약 40%(8천630만t)가 수소환원제철 도입을 통해 가능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날 황수성 실장은 “수소환원제철을 상용화하기 위한 철강 업계의 의지와 기술적 잠재력을 확인했다”며 “기업의 탄소중립 대응 노력이 결실을 맺도록 정부는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북도 관계자는 “기업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탄소중립뿐 아니라 향후 경북의 미래발전의 축이 될 수소환원제출소 건립은 지역에서 반드시 필요한 프로젝트인 만큼, 도 차원에서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지금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를 위해 자국 철강기업들의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도입을 위해 정부 차원의 엄청난 지원을 하고 있을 정도로 철강기술전환이 시급한 현안이다. 스웨덴의 사브(SSAB)와 독일의 잘츠기터(Salzgitter)는 천문학적인 재정지원을 받고 있으며, 일본은 최근 철강 분야 탄소중립을 위해 10년간 3조엔(약 28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 철강업계는 지난해 6월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2조엔(20조)의 자금으로 철강생산에서 탄소감축을 위해 그린에너지 이노베이션과 수소활용 프로그램을 진행중이다.
/이창훈·이부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