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된 포스코 주민설명회… 재개최에 道 행정력 집중 방침<br/> 빠르면 8월 다시 열릴수 있게<br/> 관련부서 1대1 매칭 신속 진행<br/> 국장급 팀장 태스크포스 구성<br/> 중앙부처엔 당위성 적극 설득
포스코가 수소환원제철 용지조성을 위한 과정중 하나로 개최한 주민설명회가 무산된 가운데 경북도가 적극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포스코는 탄소가 배출되지 않는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을 계획하고, 포항제철소 내 부지가 부족해 인근바다 132만2천300여㎡를 매립해 확장하는 안을 추진 중이다.
경북도는 지난 주 내부적으로 탄소가 배출되지 않은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이 지역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도차원에서 전 행정력을 집중키로 결정했다. 수소환원제철소가 탄소중립 뿐만 아니라 국가기간산업으로서 지역의 주요 미래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기에, 경북 경제 축으로서는 물론 지역발전을 위해서도 관련산업이 조속히 구축돼야 한다는 것이다.
11일 경북도에 따르면, 포항시와 포스코와 협력해 무산된 주민설명회를 빠른시일안에 개최하는 등 후속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우선 무산된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공람절차 등 여러단계를 거쳐야 하는 만큼 도청내 관련부서가 적극적으로 이를 뒷받침해 최대한 빨리 열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이를위해 경북도는 매립산단이 통과될때까지 관련부처와 1대1 매칭을 통해 행정절차를 밟아 나간다는 계획을 정했다. 대략 관련부처는 15~16개 부서가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 부서간 업무의 원할한 협의를 위해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키로했다. 팀장에는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이 유력하다. 도는 관련 논의를 최대한 빨리 추진할 경우 오는 8월중에 주민설명회 재개최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주민수렴은 포항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추진해야되지만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절차를 포항시와 포스코가 감당하기에는 쉽지가 않다고 보고, 경북도가 보다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나선다는 것이다.
더불어 중앙부처와도 적극적으로 소통해 이 문제를 최대한 빨리 소프트하게 풀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경북도 이달희 경제부지사는 “소멸위기에 처한 경북도가 향후 미래비전을 키우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포항에 수소환원제철소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수소환원제철소의 당위성을 비롯해 미래 지역발전의 축 등 장단점을 설명하고 절차에 맞춰 중앙부처를 설득하는 등 경북도차원에서 총력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