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서 건립 기본계획·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열려<br/>남구에 지질·지구·해양 아우르는 전국 8번째 국립과학관 구상
포항시는 국립 포항 전문과학관(이하 포항과학관) 건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포항과학관 건립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사진>
이날 보고회에는 용역기관인 (재)한국자치경제연구원과 연구·유관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국립 포항과학관 건립은 포항시가 경북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력해 진행 중인데 지질·지구·해양(심해) 등을 아우르는 ‘지오(Geo)사이언스’ 테마로 추진되고 있다.
포항과학관은 지오 헤리티지 존, AI지오 존, 딥씨 존, 키드 지오 존 등으로 구성되며 과학을 통해 자연을 이해하고 원리를 터득하는 과학 교육문화 공간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포항은 전국적으로 가장 빠른 지질시대인 신생대 제3기층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화산 활동의 흔적인 주상절리와 신생대 제3기층의 생물 화석 등이 산재해 있다.
또 동해면의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은 나무화석 중 최초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으며 구룡포읍 성동리 하천에서도 초대형 나무화석이 발견되는 등 지질학적 문화유산의 보고이기도 하다.
특히 시는 지난 2017년 지진과 지난해 힌남노 태풍 피해 등의 관련 자료들을 슈퍼컴퓨터로 AI에 접목시킨 시뮬레이션 체험관을 포항과학관에 설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심해생태계 재현과 해양탐사, 심해과학탐험, 심해지질자원 등을 과학적 원리로 풀어내고 어린이 대상 방재 과학 교육 공간과 산학연 협력 다양한 과학 직업군 체험프로그램도 마련된다.
한편 포항과학관은 현재 과기정통부의 타당성 조사 용역 중인데 향후 건립이 확정되면 2027년 남구에 연면적 7천여㎡, 지상 3층 규모로 준공될 예정이다.
현재 전국에 과기정통부 산하 국립 과학관은 건립 예정인 국립강원전문과학관과 국립울산탄소중립과학관을 비롯해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등 모두 7개소가 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