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국어국문학과에는 ‘문학기행’이라는 이름으로 문학작품 속 배경이나 작가를 기념하는 문학관을 찾는 행사가 있다. 필자도 학부 시절 순천과 광주 일대를 답사한 기억이 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답사 프로그램은 축소되거나 폐지되는 것이 현실이다. 세상의 변화 속에서 문학 현장을 찾는 것에 대한 무용론이 교수와 학생들 사이에서 폭넓게 공유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주 학부생 40여 명과 목포로 2박 3일 문학답사를 다녀왔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중단된 문학답사가 부활하는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았다. 신청마감 3일 전까지 신청자가 10명을 넘지 않아서 취소하기 직전까지 몰렸지만, ‘졸업요건’을 강조하며 학생들을 독려한 끝에 간신히 출발할 수 있었다. 애초에 대다수 학생은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이 아니었다.
첫째 날 저녁 식사 자리에서 당황스러운 경험을 했다. 식사를 일찍 마친 학생들이 삼삼오오 바깥으로 나가기 시작하더니 조금 시간이 지나자, 절반 이상이 빈자리가 되었다. 둘째 날 저녁도 마찬가지였다. 학생들은 식사를 마치면 같은 테이블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자리를 피하는 쪽을 택했다. 뿐만이 아니라, 둘째 날부터 일정이 빡빡하다는 말이 들려온 것도 이해하기 어려웠다.
학생회장을 통해 들은 말은 이랬다. 우선 날씨가 문제였다. 2박 3일 일정의 첫날은 무더위로, 둘째 날은 비로 인해서 축축하게 젖은 옷을 입고 답사를 진행해야 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쉽게 피로감을 느꼈던 것이다. 별로 친하지 않은 친구와 한 조를 이루어 이동하고 방을 함께 써야 하는 것도 문제였다. 낯선 존재와 2박 3일 동안 가깝게 지내는 것이 불편한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과거에는 어색함을 참으며 타인을 알아갔다면, 지금 학생들은 스마트 폰에 의지해 그 시간 자체를 회피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둘째 날, 우리 조 학생들과 이동 중에 소나기를 만나서 카페로 이동했다. 주문한 음료가 나오자 우리는 커다란 테이블에 둘러앉았다. 그러자 학생들은 당연한 듯 각자의 스마트 폰을 꺼내서 무엇인가를 했다. 몇 분의 침묵이 흘렀을까. 견디지 못한 내가 먼저 말을 꺼냈다. 지금은 무슨 말을 했는지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지만, 그 순간 학생들 사이에 흐르던 어색한 공기만은 또렷하게 떠오른다.
현재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의사소통 방식은 과거와 완전히 다르다. 스마트 폰에 익숙한 세대로 낯선 사람과 만나서 자신을 드러내며 대화하는 방식이 서툰 것이 사실이다. 또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겪으며 타인과 소통하는 방법 자체를 배운 적이 별로 없다. 그러니 어색함과 불편함에 성급하게 말을 하거나 혼내기보다는 잠시 기다려 줄 필요가 있다. 마지막 날 학교에 도착하고 환하게 웃으며 이야기하는 우리 조 학생들을 보니, 내가 2박 3일 동안 너무 조급하게 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속도는 조금 늦더라도 각자의 방식으로 타인과 소통하고 있었다. 이번 답사는 나에게 학생들과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를 알려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