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남국 코인, 이재명 대선 자금세탁 의혹” 제기<br/>민주당 “日처리수 주장 관련 한국 정부가 동조할 이유 없어”
5월 임시국회가 막바지에 접어들며 야당의 법안 단독 처리와 여당의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가 반복되는 등 여야 간 대치 국면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코인) 거래 논란이 민심을 뒤흔들 대형 이슈라고 보고 대야 공세의 고삐를 바짝 조이고 있다. 반면, 돈봉투 의혹에 이어 김 의원의 코인 논란으로 혼란을 겪고 있는 민주당은 국면 전환을 위해 대일 공세 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 지도부는 최근 김 의원의 위믹스 코인 투자와 매각이 지난 대선 기간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대표의 최측근인 김 의원이 코인 거래를 통해 출처 불분명한 수 십 억 원대 자금을 세탁한 뒤 불법 대선 자금으로 활용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는 “시기적으로 보면 그런 의심(대선용 자금세탁)을 할 수 있는 소지가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윤재옥(대구 달서을) 원내대표도 “부정한 정치자금이나 자금세탁 가능성이 제기된다”며 “이 사건이 의원 개인의 코인 거래 중독을 넘어 중차대한 비리 커넥션 문제는 아닌지 짚어보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했다.
이 대표가 코인 거래에 직접 연루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김웅 의원은 “아태평화교류협회(아태협)가 ‘APP427’이라는 대북 결제용 코인을 발행하며 이를 ‘이재명 코인’이라 이름 붙여 홍보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했다. 아태협은 이 대표의 경기지사 시절 경기도의 대북 교류 협력사업을 맡은 단체다.
불법 대선자금설이 불거진 건 김 의원의 초기 코인 투자자금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부터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 해명에 일정 부분 모순이 있다는 점, 김 의원이 거래소를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코인 거래 내역을 공개 거부한 점 등이 의심을 키우고 있다는 입장이다. 또 게임업계가 P2E(Play to Earn·플레이로 돈 벌기) 합법화를 위해 입법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도 국민의힘이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7개국(G7) 정상 간 연쇄회담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 파견 등을 계기로 등 민감한 외교 문제에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실제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20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윤석열정부의 대일 외교를 규탄하는 장외 집회에 나섰다. 이 대표는 시민사회 단체 모임인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공동행동’이 서울 프레스센터 앞에서 개최한 집회에 참석해 “일본 정부야 돈이 아까워서 이웃 나라가 피해를 보든 말든, 전 세계 바다가 오염되든 말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갖다 버리면 능사겠지만, 대한민국 대통령과 정부가 거기에 동조할 이유는 없지 않나”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이어 “사람 불러다 ‘오염수’가 아니라 ‘처리수’라느니, 시료 채취가 필요 없다느니, (오염수를) 식수로 먹어도 괜찮다느니 하는 헛소리 잔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이는)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대통령과 정부의 책임을 버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누가 뭐라고 말한들, 1ℓ가 아니라 10ℓ를 매일 마셔도 괜찮다고 전문가가 헛소리한다 해도 확실한 것은 일본 정부 스스로 쓸모없고 위험한 물질이라고 생각해서 (오염수를) 바다에 가져다 버리는 것 아닌가”라고 따져물었다.
민주당은 또 윤 대통령이 회담에서 ‘기시다 총리의 위령비 참배는 용기 있는 행동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발언한 데 대해 “강제동원의 강제성과 일본 정부 책임을 부인하는 기시다 총리 발언을 왜 대한민국 대통령이 두둔하냐”고 비판했다. 강선우 대변인은 “마치 기시다 총리의 참모를 보는 듯하다”며 “한일 정상이 두 달 새 3번째 만났지만, 일본이 채울 거라던 물컵은 빈 잔이 된 지 오래”라고 평가절하했다. /박형남·고세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