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인성데이타 업무 협약<br/>전통시장·공연 등 서비스 확대<br/>다양한 생활서비스로 편리함↑
대구형 공공 배달·택시 호출 앱 ‘대구로’가 시민생활 종합 플랫폼으로 확대된다.
대구시는 27일 ‘대구로’ 운영 사업자인 인성데이타(주)와 시민생활종합플랫폼 ‘대구로’ 운영 기반 마련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통해 시는 ‘대구로’를 다양한 시민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형 종합 플랫폼’으로 규정하고 신규 서비스 제3자 참여 보장, 대구로 데이터 공공서비스 활용과 불공정 거래행위 금지, 수수료 유지, 플랫폼 운영 지속성 보장 등을 새로운 협약에 담았다. 또 운영사업자가 ‘대구로’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경우 ‘대구로’에 대한 권리와 플랫폼 운영권 등을 대구시가 우선 취득하도록 했고 대신 대구시는 홍보와 정책 등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하기로 했다.
‘대구로’는 대형 민간 플랫폼사의 독과점에 따른 높은 광고비와 수수료 부담으로부터 지역 소상공인을 보호하기 위해 대구시와 민간기업이 협업하는 형태로 지난 2021년 8월 최초 출시됐다. 현재 배달·식당 예약·택시 서비스에 이어 전통시장, 문화·체육 시설과 공연 예약까지 점진적으로 서비스를 확대·개편 중이다.
‘대구로’는 가맹점주에게는 중개수수료 2%, 카드결제 수수료 2.2%의 낮은 수수료로 민간 배달플랫폼 대비 54~107억 원의 수수료 절감 효과를, 소비자에게는 회원가입 쿠폰 지급, 주문금액의 0.5% 마일리지 적립, 명절과 축제 연계 주문 고객 대상 특별 이벤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배달 주문액 933억 원, 주문건수 395만 건, 회원 가입 42만 명, 가맹점 14만 개에 달하는 성적을 거뒀고 대구로택시 역시 전체 운행차량(1만3860대)의 68%인 9195대의 택시가 가입했고, 일 호출 수도 1만402건에 달했다.
올해 2월 한국소비자원 발표에 따르면, 조사대상 민간·공공 7개 배달앱 중 소비자 만족도에서 ‘대구로’가 1위를 차지했으며, 소비자 배달 이용률이 높은 주말 점심 기준, 2㎞ 미만과 2㎞~3㎞ 미만의 거리에서 가장 저렴한 배달비도 ‘대구로’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시는 ‘대구로’ 활성화를 통해 플랫폼에 축적되는 정보 및 데이터를 공공서비스에 활용하는 방안도 추가적으로 모색할 예정이다. /이곤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