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꽃은 순서대로 개화하는 게 자연의 섭리다. 봄꽃은 동백과 매화를 시작으로 산수유, 개나리, 진달래, 벚꽃, 철쭉 순으로 핀다. 하지만, 요즘 봄꽃들은 동시다발적으로 핀다. 몇년 전부터 이런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후변화로 봄꽃의 개화 시기가 앞당겨진 때문이다.
기상청은 매화, 개나리, 진달래, 벚나무의 개화일이 최근 30년 동안 짧게는 4일에서 길게는 21일까지 빨라졌다고 했다.
한창 꽃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지난주부터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한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자태를 자랑한다. 꽃비를 뿌리는 곳이 많다. 라일락이 보랏빛 향기를 뿜어낸다. 도로변에 하얗게 핀 조팝나무 꽃은 열병식을 한다. 성급한 철쭉이 막 꽃망울을 터뜨리려고 한다. 올해 대구지방의 벚꽃 개화일은 21일이다. 기상관측을 시작한 1924년 이후 두 번째로 빠르다고 한다.
통상 봄꽃의 개화시기는 순서대로 열흘 넘게 차이가 났다. 식물은 저마다 일정 온도가 돼야 꽃망울을 터뜨린다. 이상고온 현상은 개화시기를 헝클어뜨렸다.
동시개화는 한번에 화사함과 아름다움을 보는 기쁨을 주지만 저마다 피는 시기에 누리던 인간의 즐거움을 앗아가버린다. 더 큰 문제는 생태계 교란이다. 꿀벌의 수분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곤충의 활동 시기도 바꾼다. 꿀벌 실종 사건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있다. 꿀벌이 없으면 과일과 채소 등의 수분 작용이 차질을 빚고 농작물 작황에도 영향을 미친다. 자칫 인간의 식생활을 위협할 수도 있다. 봄꽃 축제를 준비 중인 지자체마다 행사 개최시기를 두고 큰 혼란에 빠졌다는 소식도 들린다.
지구온난화가 초래한 결과다. 자칫 봄꽃과 여름꽃이 동시에 피는 불상사는 없어야 할 터이다.
/홍석봉(대구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