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개구리소년과 와룡산의 진실

등록일 2023-03-22 18:22 게재일 2023-03-23 19면
스크랩버튼
홍석봉 대구지사장
홍석봉 대구지사장

다시 봄이다. 봄만 되면 비통한 기억에 가슴앓이를 한다. 개구리소년 유족들이다. 오는 26일은 개구리소년 실종사망사건 32주년을 맞는 날이다. 관내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대구 달서구도 유가족 못잖게 몸살을 앓았다. 달서구는 32주년을 맞아 아동권리와 안전의식을 높이는 각종 행사를 한다. 기념식과 추모식, 캠페인 등 행사를 갖는다.

지역아동센터는 아동 등을 대상으로 성폭력 등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교육을 할 예정이다. 네거리와 지하철역에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이 펼쳐진다.

달서구 용산동 선원공원 개구리소년추모비 앞에서 5개 지역아동센터 아동 30여 명이 개구리소년을 추모한다. 유가족들도 26일 추모행사를 갖는다.

지난 1991년 3월 26일 도롱뇽 알을 주우러 와룡산에 갔다가 실종, 11년 만에 유골로 발견된 초등학생 5명을 기리기 위한 행사다. 타살로 결론나고 미제사건으로 남았으나 아직도 진실은 드러나지 않았다.

경찰은 사건 초기 단순 가출로 판단했다가 단서를 찾을 기회를 놓쳤다. 국내 단일 실종 사건으로는 최대인 연인원 35만 명의 수색 인력이 투입되고 전국에 1천만 장의 전단지가 뿌려졌지만, 아이들의 행방은 묘연했다. 개구리 소년 찾기 캠페인이 전국적으로 펼쳐졌다. 안타까운 사연은 노래와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범인은 물론 범행 도구도 밝히지 못했다. 결국 2006년 공소시효가 끝나 장기 미제 사건으로 남았다. 그 후 한 차례 경찰이 재수사했지만 별다른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사건은 모두의 가슴 속에 묻었다. 우리 사회는 재발방지와 아동들의 안전과 꿈을 위해 각별히 노력해야 한다. 다시는 아이들의 억울한 주검이 있어서는 안 된다. 3월의 다짐이다.

/홍석봉(대구지사장)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