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의무매입 안 돼” 野 “23일 반드시 처리”… 선거제 개편안은 신중
김진표 국회의장은 이날 오후 국회의장실에서 국민의힘 주호영·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와 1시간 가량 회동, 중재를 시도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양곡관리법과 관련, “다시 한번 협의할 여지가 있는지 챙겨보겠다”면서도 “다만 의무 매입이 있는 한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임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그러나 박 원내대표는 “김 의장은 이미 국민 앞에서 23일 본회의에서 (양곡관리법을) 반드시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공언했다. 일단 처리 시점에 대해서는 그것은 불변”이라며 의무 매입 조건을 ‘초과 생산량 3~5%, 가격 하락 폭 5~8%’로 조정한 수정안을 처리하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지난달 임시국회에서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려 했으나 김 의장이 여야 합의를 요구하며 법안 상정을 보류했다. 김 의장은 추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3월 임시국회 첫 번째 본회의에서 개정안을 표결 처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김 의장은 민주당이 추진한 양곡관리법(쌀 초과 생산량 3% 이상, 전년 대비 5% 이상 쌀값 하락 시 의무 매입)을 정부·여당이 반대하자 여야에 중재안을 제시했다. 민주당은 중재안을 수용, 의무 매입 조건을 ‘초과 생산량 3~5%, 가격 하락 폭 5~8%’로 조정해 정부 재량권을 넓히는 수정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가 추진 중인 선거제도 개편안에 대해선 양당이 모두 신중한 입장을 드러냈다. 특히 비례대표 의석을 지금보다 50석 늘려 의원정수를 350석으로 증원하는 안에는 부정적 국민 여론을 의식하는 모습이다.
주 원내대표는 “양당 지도부 입장도 안 정해졌고 의원정수를 늘려야 한다, 늘리지 말아야 한다고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면서 “다만, 국민 여론 자체가 의원정수를 늘리는 데 반대가 강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선거법과 관련해서 아직 공식적인 당의 입장을 정할 때가 아니라고 본다”며 “의원정수를 국민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늘리기가 쉽겠느냐. 50명이나 증원한다는 것은 개인적으로는 수용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