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등록일 2023-03-15 18:28 게재일 2023-03-16 18면
스크랩버튼
최병구 경상국립대 교수
최병구 경상국립대 교수

4년 만에 마스크 없이 맞이한 3월 초의 캠퍼스는 아름다웠다. 마스크 없이 캠퍼스를 활보하는 학생들의 웃음소리는 기분 좋게 느껴졌고, 3월 첫 수업을 앞두고는 설레기까지 했다. 마스크 없이 진행하는 수업에서 느껴지는 시원함은 마스크와 동거했던 지난 시간을 아득하게 만들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잔뜩 움츠렸던 몸과 마음이 이제야 기지개를 켜는 기분이었다.

하지만 이런 마음은 연구실로 걸려 온 전화 한 통에, 개강 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서 무너지고 말았다. 2023학번 신입생이 퉁명한 목소리로 자퇴하고 싶다며 전화를 한 것이었다. 대학에 온 지 한 주, 두려움과 설렘 속에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바쁠 신입생과 자퇴,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가 어떻게 조합될지를 상상하며 면담 날짜를 잡았다.

학생은 한눈에 봐도 마음이 아픈 학생이었다. 서울에서 진주로 왔지만, 여전히 일상을 마주할 자신이 없다고 했다. 중학교부터 정신과 치료를 받았으며 입원도 한 적이 있다고 했다. 집으로 돌아가도 진주에 있는 것과 큰 차이는 없지만, 그래도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 어느 곳에 있으나 마찬가지라면, 자퇴는 언제라도 할 수 있으니 대학에 조금 더 머무르길 권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나는 상담 내내 불안한 눈동자로 울고 있던 학생을 진주에 남겨뒀을 때, 생겨날 수 있는 일들에 대한 두려움에 학생의 자퇴 원서에 서명했다.

나는 아직도 그 학생이 어떤 생각으로 대학에 진학했는지, 또 어떤 이유로 자퇴를 선택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그 학생은 대학에 온 지 불과 일주일 만에 내린 자퇴라는 선택과 학교와 집 어느 곳도 편하지 않다는 자신의 발언이 모순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나도 다른 친구들처럼 감당할 수 있는 고통을 느낄 수 있으면 좋겠다’는 학생의 발언이 여전히 선명한 이유는, 선생으로서 나의 시각은 그 학생의 상황을 조금도 이해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명료히 알려주기 때문이다.

나는 상담을 하는 동안 그 학생에게 함께 이겨내자는 말을 몇 차례 했다. 좋은 의도를 가진 것이었지만, 그 학생에게는 별 의미가 없는 말이다. 어떤 목적을 전제로 나름 합리적 선택이라고 제안한 나의 말은 이미 ‘이해 가능한’ 수준을 넘어선 학생의 상황에는 전혀 들어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해할 수 없는 고통을 가지고 있는 학생에게 합리적 판단을 해야 하는 대학 선생은 무엇을 해줄 수 있을까? 여전히 무기력하다.

마음이 아픈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다. 대학도 이를 인지해서 상담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학생이 상담프로그램을 직접 찾기는 어려우며 이미 그 단계를 넘어선 학생도 존재한다. 상담프로그램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급격한 출산율 저하로 지방 소멸론이 일상이 된 시대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최근 몇 년 정신이 병든 대학생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당연히 그 병은 어린 시절부터 누적된 고통이 성인이 되어 터진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 사회는 사회적 고통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공감할 역량을 가지고 있을까.

일상의 발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