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측근 사망 ‘책임론’ 에도<br/>거취 고민 없이 “검찰 탄압” 주장<br/>비명계 달래기용 당직개편 전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놓고 당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압도적 부결’을 자신했던 체포동의안에서 무더기 이탈표가 발생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측근이 사망하는 등 책임론이 불거지며 당 내부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압박이 거세다. 일각에선 이 대표가 ‘비명계’의 퇴진 요구를 달래기 위해 당 인적 쇄신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 대표는 최근 당내 소통을 늘려가는 등 내홍 수습에 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지난 9일 자신이 연루된 혐의와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은 최측근이 사망하자 ‘사법 리스크’가 더 부각됐다. 이 대표가 경기지사로 재직할 당시 초대 비서실장이었던 전모씨가 숨진 것이다.
이 대표는 10일 경기도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전씨의 사망이) 검찰의 압박 수사 때문이지, 저 때문이냐”라고 항변했으나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당장 비명계는 이 대표의 책임론을 들고 일어났다. 윤영찬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 대표 본인이나 주변에서 고인에게 부담을 주는 일이 있었다면 대표가 책임져야 한다”면서 “도의적 책임을 져야 마땅하다. 그게 인간이고, 그게 사람이다”라고 지적했다. 이는 이 대표 퇴진이 불가피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반면 이 대표는 현재까지 거취를 고민한 바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상황의 본질은 어디까지나 검찰 탄압이라는 게 이 대표 측의 입장이다.
이 대표는 전날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을 규탄하는 장외투쟁에 참석했다. 민주당은 지난달 4일 이후 약 한 달 만에 장외집회에 나섰다. 비명계의 사퇴론, 책임론 부각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일정을 소화하며 요구를 사실상 일축한 것이다.
당 안팎에서는 대표직 사퇴 없이 이 대표가 위기를 돌파할 방안으로 인적 쇄신을 전망하고 있다.
이 대표가 취임한 지 6개월이 지난 데다 분위기 전환을 위해 당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그동안 계속 제기돼 왔다. 박홍근 원내대표 임기 만료가 다가옴에 따라 내달쯤 원내대표 경선 후 개편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시점이 당겨질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최근에는 비명계가 그간 주요 당직에서 배제됐다는 점을 들어 사무총장직을 요구했다는 설이 흘러나오기도 했다. 정당 내 3대 권력(대표·원내대표·사무총장)으로도 불리는 사무총장직은 총선 공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다. 이미 비명계 일부 의원 등이 언론을 통해 사무총장직 교체를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당 지도부에선 당직 개편을 공식 회의에서 논의한 적은 없다고 밝혔으나 비명계와의 소통을 이어가면서 받아들일 수 있을지 당분간 고심할 전망이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