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양역을 통해 전국으로 우수한 목재가 운송되면서 ‘춘양목’이라는 명칭이 널리 퍼졌다. 원래 억지춘양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을 억지로 겨우 이루어 내는 비유격에 이르는 말’이다.
억지춘양이란 말이 생겨난 유래를 춘양역에서 찾아보자. 춘양면 읍내는 철로가 오메가(Ω) 형태로 돌아나가고 있다. 철길은 휘는 법이 없다. 법전역에서 녹동역으로 바로 이어져야 할 철길이 오메가 형태로 휘어져 들어오게 만들어 ‘억지’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설이 있다.
춘양역과 춘양장은 전성기 때 장날이면 하루에 소 300마리가 거래됐던 큰 시장이었다. 지금은 예전보다는 못 하지만 면 단위 시장으로는 가장 큰 시장으로 불린다.
춘양목을 나르는 목도꾼들의 거친 목소리는 들리지 않아도 춘양역 앞 골목에는 예전의 흔적이 곳곳에 눈에 띈다. 오래된 다방, 여인숙 간판부터 후미진 골목길이 옛 향기를 느끼기에 충분하다.
춘양역 역사는 새 단장을 한 지 오래다. 극장이 있던 자리엔 현대식 건물이 자리를 잡았지만, 100년이 넘은 방앗간, 일본식 주택 그리고 싸전이 있던 주변과 시장 안 골목으로 번성했던 시기의 주막집들이 아직 남아 있다.
춘양 읍내엔 용마루를 길게 늘어뜨리고 추녀마루는 창공을 걷어차듯 하늘 높이 솟은 성암고택과 만산고택이 깊은 역사를 간직하며 과거와 오늘을 연결하고 있다. 국가보물 한수정 연못에는 붕어가 놀고, 느티나무는 근엄한 자태로 수백 년을 당당하게 서있다.
기존 춘양공용버스터미널이 올해 사라지고 현재는 임시 정류소에서 동서울, 대구, 대전, 안동, 태백행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십이령을 넘나들던 보부상도 보이지 않고, 싸전과 우시장도 사라졌지만 억지춘양시장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원사업인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에 선정돼 다양한 볼거리와 먹을거리, 즐길거리를 제공해 새로운 명성을 쌓아가는 중이다. /류중천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