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튀르키예의 비극

등록일 2023-02-09 19:14 게재일 2023-02-10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우리에게는 터키로 잘 알려진 튀르키예공화국이 위치한 아나톨리아반도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인간 집단거주지 중 하나다.

신석기시대부터 이곳에는 인도와 유럽어족 일파인 아나톨리아인이 살았다. 아나톨리아반도 동남부에서는 BC7500년에서 BC5700년 사이에 번성했던 인류 집단거주지의 유적이 발견됐는데, 그곳서는 사람들이 곡물로 빵을 만들어 먹었던 흔적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지난 6일 새벽 튀르키예 남부와 시리아 국경지대 일대에 규모 7.8의 강진이 일어났다. 21세기 전 세계에서 발생한 지진 중 4번째로 큰 지진이다. 직선거리로 약 7천400km가 떨어진 우리나라 지진계서도 감지됐다니 지진 강도는 짐작하고도 남는다.

AFP통신은 튀르키예와 시리아의 지진으로 1만1천2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지진발생 초기 15명으로 알려진 사망자가 시시각각 늘어 지금은 1만명을 넘겼다.

미국의 지질조사국은 사망자가 10만명까지 갈 수 있다는 비극적 예측도 했다. 무너진 건물 잔해에 깔린 사람이 많아 사망자가 앞으로 얼마나 더 늘지 알 수 없다는 뜻이다.

외신이 전한 사고 현장은 끔찍하다. 어린 자녀를 잃은 부모가 속출했다. AFP통신은 무너진 건물 잔해에 깔려 숨진 딸의 손을 잡고 있는 아버지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았다. 삶과 죽음이 엇갈리는 비극의 현장들이 곳곳에서 포착되었다.

지진은 인류가 대비하기 가장 어려운 재앙이다. 튀르키예 비극이 남의 일일 수 없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우리나라 등 각국의 구호대가 긴급 파견을 갔지만 현장의 혹독한 기후 등으로 구호작업이 순조롭지 않다. 튀르키예의 비극적 사태에 지구촌 모두가 인류애로 그 아픔을 보듬어야 한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