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청도 남산에서 향 좋은 미나리와 만나다

민향심 시민기자
등록일 2023-01-29 19:19 게재일 2023-01-30 12면
스크랩버튼
겨울 이겨낸 미나리 왕에 진상하기도<br/>노화 지연·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
먹음직스런 한재미나리와 삼겹살.
남산(南山)이란 이름은 경북 청도는 물론이고 경주, 충주, 개성, 서울 등 크고 작은 도시에서 만날 수 있다. 심지어 애국가에도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이란 구절이 등장할 정도로 친근하다.

우리 선조들은 태양의 기운을 받는 양력보다 지구와 가까운 달의 기운을 받는 음력 위주로 24절기를 나누었고 일 년을 시작하는 첫 달인 정월에는 몸과 맘을 정갈하게 하고 좋은 기운을 받으려는 여러 가지 행사도 열었다.

필자 역시 명산 정상에 올라 한 해 좋은 기운을 받으러 청도 남산을 찾았다. 정상을 오르는 코스는 3가지인데, 낙대폭포 얼음벽이 유명하다고 해서 그쪽으로 가려다가 왕복 3시간 정도면 충분한 밤티재 코스를 선택하기로 했다.

밤티재 전원주택단지에서 널따란바위, 삼면봉을 지나 정상으로 향하는 코스는 능선을 타고 오르는 길이 완만하고 흙길이 주는 편안함이 좋다.

아무리 낮은 산이라 해도 정상은 쉽게 도달하지 못한다. 오를수록 길이 가팔랐지만, 넓은 바위에 도착하니 화악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절경이다. 이윽고 정상에 도착해 870m 남산 정상석을 만날 수 있었다.

겨울바람이 어찌나 차갑던지 잠시 올해의 안녕을 기원하고 원점 회귀를 서둘렀다. 산행을 마무리하니 푸른 잎이 싱싱한 미나리가 장관을 이룬 한재미나리 단지가 보였다.

청도읍 한재 지역에선 오래전부터 자투리 논에서 미나리를 재배하기 시작했다. 1985년경부터 생산물의 일부를 청도시장에 출하한 것이 경제적 재배의 시초다.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1996~2001년까지 비닐하우스 설치와 암반 지하수 관정 설치 등으로 한재미나리는 현재의 명성을 얻게 된다. 긴 역사와 흥미로운 사연이다.

1월 말부터 4월 초까지가 미나리의 제철이라 하니 내친김에 하산주(下山酒)는 미나리와 삼겹살로 결정하고 식당에 들어섰다. 주인은 ‘미나리 자랑’을 멈추지 않았다.

“어서 오이소. 조금만 늦었으면 미나리 없었심다. 마지막 남은 한 단 드시고 가는 건 가능합니다. 미나리는 노화를 지연시키고, 성인병의 예방에도 좋습니다. 비타민도 풍부하게 들었지요. 국내 최초 무농약 인증 받은 무공해 청정 채소니까 마음 놓고 드셔보세요.”

주인의 조언대로 삼겹살을 굽고 미나리를 돌돌 말아 된장에 찍어 한입 베어 물었더니 근사한 미나리 향기가 입 안 가득 퍼졌다. 한재미나리는 줄기 아래쪽, 뿌리 가까운 부분이 붉은 자줏빛을 띤다. 그 부분을 잘라보니 일반 미나리와 다르게 속이 꽉 차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일반적인 미나리의 경우 물속에서 자라기에 줄기를 잘라보면 속이 비어있지만. 고인 물이 아닌 해발 933m의 화악산에서 흘러내리는 자연수와 지하암반수를 이용해 자연배수 해주는 농법으로 재배하는 한재미나리는 뿌리에 공기 공급이 수월해 줄기 속이 꽉 찬게 된다. 그로 인해 특유의 식감과 맛, 향을 지니는 것이다.

미나리의 향과 맛에 취하고, 막걸리 한잔에 겨울 산행의 노곤함이 녹아내렸다. 2023년 첫 산행지의 선택이 탁월했다고 스스로를 칭찬했다.

예부터 겨울을 이겨내고 잘 자란 미나리는 왕에게 진상한 귀한 식품이었다. 봄을 품고 나온 한재미나리도 맛보고, 산행도 즐길 수 있는 청도 남산을 여러분들께 추천한다. /민향심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