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과 포스코의 ‘2·25 합의’ 지켜질까

등록일 2023-01-24 19:37 게재일 2023-01-25 19면
스크랩버튼
심충택 논설위원
심충택 논설위원

최근 포항시민뿐만 아니라 대구·경북지역민의 관심은 2월 16일로 예정된 포스코그룹 이사회에 쏠려 있다. 포항시와 시민대표(범대위), 그리고 포스코가 지난해 2월 25일 체결한 ‘3개 합의사항(지주사소재지 이전, 미래기술연구원본원 포항 설치, 상생협력)’ 중 지주사(포스코홀딩스) 소재지 이전문제가 이사회에서 사실상 결정되기 때문이다. 포스코 주주총회는 3월 17일 열리지만, 이사회에서 이 문제를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하지 않으면 아예 지주사 주소를 포항으로 옮기는 것은 물 건너간다. 포항시와 포스코측은 그동안 ‘2·25 합의사항’을 원만하게 추진하기 위해 상생협력TF를 가동해왔다.

지난 연말 상생협력TF가 포항시의회에 보고한 내용에 의하면, 지주사소재지 이전안건은 이변이 없는 한 주주총회에 상정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측은 지난해부터 해외 주요 투자자를 대상으로 개최한 기업홍보행사 등을 통해 주주들을 적극 설득해 왔으며, 주요주주들이 별 무리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현재 포항지역 정치권에서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지원사격을 하고 있어, 이 문제는 긍정적인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

미래기술연구원 본원 포항설치와 관련해선 포스코측이 3월 이전까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에 본원을 설치하겠다는 의사를 포항시에 통보한 상태다. 미래기술연구원은 산학연 협력 부서, AI연구소, 이차전지소재 연구소, 수소저탄소연구소로 구성돼 있는데, 이중 AI연구소와 이차전지 소재·수소저탄소연구소를 RIST 건물에 입주시키겠다는 것이다. 연구원장, 소장, 스태프가 포항에 상주하면서 상용화 단계의 연구를 수행하고, 수도권 분원에서는 산학연협력 부서를 통해 인재 영입에 주력하겠다는 제안이다. 지역상생협력 문제는 포항제철소가 최근 수해복구를 완료하고 정상가동된 만큼 추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투자와 관련해선, 포스코가 이미 이차전지 분야를 중심으로 향후 3년간 5조원을 포항에 투입하겠다고 밝히는 등 나름의 청사진이 속속 나오고 있다.

이러한 포스코측의 움직임은 그러나 아직 포항시와 시의회로부터 환영받는 분위기는 아닌듯 하다. 시와 시의회는 포스코가 명실상부한 ‘포항본사 시대’를 열려면 지주사 신사옥이 포항에 건설돼야 하고, 이를 최정우 회장이 시민에게 약속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반면, 포스코측은 간격차는 좁혀야 하겠지만 다소 과하다는 감정을 내비친다. 국제적인 경제위기 상황에서 포항시와 시의회가 현실적으로 감당키 어려운 대규모 자금투입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포항시와 포스코와의 관계에 대해 취재하면서 일관되게 느끼는 것은 양측 모두 상대방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포스코측은 우선 포항이 자신을 세계적인 대기업으로 키워준 ‘산실(産室)’이라는 점을 잊고 있지나 않은지 돌아봤으면 한다. 지난해 포스코홀딩스 주소지를 서울에 옮길때 더 심사숙고하고 고민했어안 했다.

포항시도 포스코가 효율성과 성과를 최대가치로 두는 글로벌 기업이라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포항시가 ‘포스코의 어머니’ 존재로 계속 남으려면, 기업의 논리를 이해하고 아낌없이 배려해 주는 자세 또한 무엇보다 필요한 부분이다.

심충택 시평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