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일이든지 마음먹기는 쉬워도 이루기는 어렵다. 시작의 첫 마음은 누구나 쉽게 가질 수 있지만, 그것을 꾸준히 지키고 지탱하며 실천해 나가기는 더더욱 만만찮다. 누구나가 마음먹은 바를 무난하고 순조롭게 이루고 싶어도, 현실의 여건이 녹록찮고 의지와 상황의 변화가 부지불식간에 일어나 뜻한 바들이 잘 풀리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심이 굳지 못함을 이르는 작심삼일(作心三日)이니, ‘창업보다 수성(守城)이 어렵다’는 말이 생겨났을까? 그러나 요새는 작심삼일을, 마음먹는데 3일씩이나 걸린 것으로 보고 최소한 30일 정도는 해봐야 일의 지속여부가 판가름 난다고 여기기에, 일단 무슨 일이든지 부딪치며 시작하려는 결단과 시도가 대세인 것 같다.
어떤 일을 계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것은 처음 시작의 결심 못지않은 확고하고 결연한 의지와 자세가 있어야 된다고 본다. 마음만 먹고 이어가지 못한다면 시작하지 않음만 못하다고들 한다. 이른바 ‘중도포기’란 물 속에서 수영을 하다가 자맥질을 멈춘다거나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페달링을 못하는 것과 비슷하여, 멈추는 순간 그대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거나 길바닥에 쓰러짐을 의미한다. 그만큼 어떤 일이나 목표를 향한 계속적인 몸놀림과 실행력이 중요하고 지속가능한 추동력이 관건임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똑같이 시작하고 출발해도 낙오되거나 주저앉는 것은 결국 과정에서 비롯되는 자신의 의지와 신념의 차이가 아닐듯 싶다.
그런 측면에서 한 문학단체의 동인지를 40년 이상 해마다 발간, 작품활동을 하며 문학적인 교감과 소통으로 문학의 저변확대를 꾀하는 노력은 가상한 일이 아닐까 싶다. 강산이 네 번씩이나 바뀌는 동안 몇몇의 동인들이 오고 가거나 활동의 부침이 있었지만, 현재까지 44년째 명맥을 유지하며 시조창작과 작품발표의 소신을 이어오고 있음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더욱이 율격이나 음보, 자수 등의 제한이 엄격하게 요구되는 우리나라의 전통 정형시인 시조(時調)를 현대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려는 문학활동이기에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복잡한 세상에 편하게 살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현대에 애써 전통을 고수하며 시조의 튼튼한 맥이 되기 위해 시를 향한 외로운 보법(步法)을 꺾지 않고 유장하게 이어가고 있는 사람들은, 포항지역에 본거지를 두고 꾸준하게 활동하고 있는 맥(脈)시조문학회 동인들이다.
맥시조문학회는 1979년 창립 이래 회원 모두가 시조와 문학을 사랑하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하는 문학적 소신으로 현재까지 끈끈한 결속력과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북지역의 대표적인 시조문학 단체다. 치열한 시정신을 바탕으로 정갈한 언어의 형상을 단아하고 팽팽한 율과 격이 흐르는 시조 3장에 담아내고자 부단히 노력하며 시조문학 진흥에 앞장서고 있다. 그러한 맥시조에서 최근 동인지 42집을 발간하고, 동인 중 한 명이 빼어난 작품으로 한국시조시인협회이사장 본상까지 받게 돼 한층 고무적이다. 시조의 굳건한 맥이 줄기차게 이어지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