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화물연대, 조건없는 복귀가 먼저다”

이시라 기자
등록일 2022-12-06 20:20 게재일 2022-12-07 1면
스크랩버튼
포항서 지도부 만난 원희룡 장관<br/>“합법적 틀안에서 타협하자” 권고<br/>  철강 등 5대 업종 출하 차질 3.5조<br/>  이번주 추가 업무개시명령 검토
화물연대 총파업 13일째인 6일 오후 원희룡 국토부장관(왼쪽)이 포항시 남구 오천읍 철강산업단지 파업현장을 찾아 이강덕 시장과 함께 화물연대 포항시지부 노조원과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정부는 정유, 철강, 석유화학 분야 업무개시명령을 이번주 중으로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강경 대응방침을 거듭 밝혔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6일 포항철강산업단지 내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의 총파업 천막 농성장을 방문해 화물연대 지도부와 만났다.

원 장관은 이날 방문에서 “화물연대는 조건 없는 복귀를 한 뒤 합법적인 틀 내에서 논의를 거쳐 요구사항을 해결하는 것이 유일한 출구”라고 말했다.

비공개로 화물연대 지도부와 10여분간 만난 원 장관은 기자들 앞에서 결과를 설명했다.

원 장관은 “화물연대 지도부는 과적 방지, 잘못된 지입제도 개선, 적정한 운임이 보장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달라고 요구했고 거기에 대해 정부도 합당한 방안을 마련할 입장이지만 피해가 커지는 만큼 복귀해 국회란 합법적인 장에서 대화·타협하자고 권고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산업 피해, 국민 걱정, 화물차주 어려움을 얘기했고 화물연대 지도부가 결단을 내려 복귀한 뒤 문제를 풀어나가는 순리를 취하기를 바란다”며 “지금까지 가급적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왔지만 한계점에 다가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고 ‘떼법공화국’이 아니고 ‘민주공화국’임을 입증할 책임이 있다”며 “이전 정부 사례는 이번 경우에 적용이 안 된다”고도 했다.

그는 2차 협상 이후 추가 협상을 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화물연대 복귀 움직임이 커지고 있고 복귀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동력이 약해지고 있다”며 “법 밖에서 타협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추가 협상을 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날까지 5대 주요 업종에서 3조5천억원의 출하 차질이 발생했으며, 특히 철강·석유화학은 적재 공간 부족으로 이르면 이번주부터 감산을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철강협회는 5일 기준 5대 철강사(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의 출하 차질 규모를 92만t으로 추산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2천억원으로, 일주일새 피해 규모가 약 5천억원 가량 늘었다.

철강협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화물연대에 파업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철강산업의 출하 차질은 자동차, 조선, 기계 등 국내 주력산업의 위기로 확산되고 있다”며 “정부는 화물연대의 집단행동을 수용하지 말고 법과 원칙에 따라 철강 물류를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막대한 피해가 현실화되기 전에 이번주 중에라도 선제적으로 정유, 철강, 석유화학 분야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시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