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위기의 제로코로나

등록일 2022-12-01 17:06 게재일 2022-12-02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봉쇄에 항의하는 시위가 확산되고 있다. 3년째 계속되는 코로나 감염증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이 폭발하면서 시작된 시위가 지금은 ‘반봉쇄’를 넘어 ‘반정부’ 양상으로까지 치달아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외신들은 중국에서 벌어지는 제로코로나 정책에 대한 반(反)시위는 1989년 6월 발생한 천안문 사태를 연상케 할만큼 심각한 분위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베이징과 상해 등 적어도 전국 10개 이상 도시에서 제로코로나 정책에 반발하는 시위가 일어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카타르 월드컵 중계를 통해 마스크를 벗고 즐겁게 응원하는 세계인의 모습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 젊은이를 중심으로 제로코로나 반대시위가 일어나 그 기세가 얼마나 커질지 주목된다. “카타르와 중국은 다른 행성이냐”는 말이 나올 정도라고 하니 제로코로나 정책에 대한 중국인의 불만과 불신의 정도를 가늠할 만하다.

시위가 “영수를 원하지 않는다” “언론자유를 달라”는 등 시진핑 퇴진으로 분위기가 바뀌자 중국 당국도 긴장된 모습이라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봉쇄조치 일부를 해제하는 등 강온양면책을 쓰기도 하고 있으나 강경책 기조에는 큰 변화가 없다.

중국 당국은 2019년 홍콩의 반중 시위 때처럼 이번 시위도 외부 적대 세력의 개입으로 규정하고 강경 단속 중이다.

15억의 거대한 인구와 도농간의 의료환경 격차가 큰 중국으로서는 제로코로나 정책의 선택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오랜 봉쇄로 숨이 막힌 주민들이 반정부 시위로 나오면서 시진핑의 중국정부는 또 한번의 위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