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위기 가구

등록일 2022-11-29 18:20 게재일 2022-11-30 19면
스크랩버튼
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에 위기의 가구란 말이 생겨났다.

경제적 어려움이나 건강상 문제, 사회적 고립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가구를 일컫는 용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실직이나 휴·폐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 중대한 질병, 장애 등으로 도움이 절실한 사람, 그리고 학대나 가정 폭력 등으로 긴급하게 위기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등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넘어가면서 가족이나 친척 등 주변의 사람들과 단절된 생활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어 이 또한 위기 가구다. 일본서는 오래전부터 노령층의 나홀로 죽음이 급증하면서 고독사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져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다.

2014년 생활고를 비관하여 목숨을 끊은 송파 세모녀 사건의 충격으로 정부가 복지시스템을 한층 강화하고 나섰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복지의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지난 8월 수원 세모녀 사건에 이어 최근 서울 신촌에서도 생활고를 비관한 모녀의 주검이 발견됐다. 60대 어머니와 30대 딸의 집 앞에는 전기료 독촉장이 나붙어 있고 냉장고는 텅 비어 있었다고 한다.

복지국가란 국가가 국민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복지 혜택을 부여하는 나라다. 국민 생활의 최저 보장은 국가의 의무라고 생각하는 개념이다. 우리가 경제대국이라 말하지만 사회보장적 측면에서는 많이 미흡하다.

행정기관이 분류한 위기 가구가 대구경북에서만 수 만가구에 달한다. 특히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그들의 수가 더 늘어났다고 한다.

연말을 맞아 우리 주변에 위기의 가정은 없는지 되돌아보는 온정의 마음이 필요한 때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