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예전에 노닐던 등성이나 벌판을 거닐어 보노라면 문득 어디에선가 들려오는 희미한 소리, 먼 지난날이 손짓하며 부르는 세월의 소리가 바람결에 실려옴을 느끼곤 한다.
또래들의 시끌벅적한 재잘거림, 철딱서니 없는 아우성, 흥얼거리듯 외치는 환호 등 지금은 분간하기조차 힘든 유년의 함성이 눈길 따라 발길 따라 아련히 묻어나는데, 그토록 뻔질나게 부대끼며 목놓아 질러대던 그 시절의 주인공들은 지금은 다들 어디서 어떤 음조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살아가고 있는지 짐짓 궁금하기만 하다. 뒷산에 올라 키재기하던 참나무는 내 키의 두배가 훨씬 넘는 거목으로 우뚝 섰고, 숨이 넘어갈 정도로 달음박질해야 겨우 다다를 수 있었던 앞산도 이제는 바로 지척에서 기웃거리는 듯하니, 무던한 시간의 물레에 버물려 자연과 나는 그렇게 변하고 성장했었나 보다.
무릇 세월에는 소리와 향기가 있기 마련이다. 켜켜이 쌓인 책장 같은 나날에는 그날 그때의 장면이 고스란히 쟁여지고 사연이 응축되어 곰삭다가, 한 세월이 흐른 뒤에는 잘 익은 묵은지 마냥 새큼하고 걸쭉한 추억의 향기와 아스라한 울림으로 퍼지게 된다. 좋거나 좋지 않았던 기억의 편린들이 차곡차곡 뇌리에 쌓였다가 한동안의 숙성기간(?)을 거친 다음, 어느 순간 애증의 안개처럼 어련무던히 피어나는 것이다. 숱한 사연이나 애환의 잔상들은 세월의 저편에서 잠자듯 묻혀 있다가, 현실과의 교효작용으로 때때로 불현듯 스치거나 소환되고 꿈결처럼 여울지기도 하는 것이다.
“어쩌면 나이를 먹는 것은/즐거운 일인지도 모른다/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추억은 늘어나는 법이니까//그리고 언젠가 그 추억의 주인이/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려도/추억이 공기 속을 떠돌고, 비에 녹고/흙에 스며들어 계속 살아남는다면….//여러 곳을 떠돌며/또 다른 누군가의 마음속에/잠시 숨어들지도 모른다//처음으로 간 곳인데/와본 적이 있다고 느끼게 되는 것은/바로 그런 추억의 장난이 아닐까?” -유모토 카즈미 ‘여름이 준 선물’ 중에서
어려서는 꿈을 먹고 자란다지만 나이가 들어서는 추억을 먹고 산다고들 한다. 그만큼 좋은 경치를 보고 맛난 것을 먹으며 여행을 즐기고 누리는 경험과 기억이 많을수록, 대부분 자신의 삶이 풍부해진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예컨대, 명승지를 관광하고 문화유적을 탐방하면서 느끼는 감탄과 만족감은 자신에게 희열감과 아울러, 선물 같은 추억을 덤으로 안겨주기에 사람들은 여행지를 더욱 즐겨 찾게 되는지도 모른다. 여행의 경험은 누구에게나 소중하고 추억은 값지기 때문이다.
지난 주말, 모처럼 고향 친구들과 안동 일원에서 서원을 답사하고 탈춤공연을 함께 보는 문화체험과 고택을 감상하는 등의 나들이는 늦가을의 햇살만큼이나 정갈하고 따스했다고나 할까? 마음이 이끌리고 몸이 움직이는대로 더불어 어울리며 함께 한 시간들은 단순한 ‘추억 쌓기’ 그 이상의 의미를 더해줬다. 회심(會心)의 어울림과 즐거운 추억은 중년의 삶을 더욱 활기차고 윤택하게 해줄 것이다.